상주학. 금요사랑방 103강좌 상주의 식민지 경험(2) 일제(日帝) 강점기의 상주모습(2) -지역엘리트와 정치공간- 상주문화원장 김 철 수 1. 머리말 ‘지역엘리트’란 지역사회의 공적인 사업이나 운동 등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맡은 사람을 의미한다. 그리고 ‘공적(公的)’이라는 용어 속에는 식민지 권력에 의한 것만이 아니라 민족운동 등..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11.26
상주학. 금요사랑방 104강좌. 의(義)에 삶을 바친 왕사(枉史) 김만원(金萬源) 의(義)에 삶을 바친 왕사(枉史) 김만원(金萬源) 권세환(문경대학교 초빙교수) Ⅰ. 왕사(枉史) 김만원(金萬源)의 약사 1. 약사(略史) 김만원(金萬源)은 화벌상산김문낙성군(華閥商山金門洛城君) 휘 선치(先致)의 29세손이고 조선의 청백리 김덕함(金德咸)의 28세 손이다. 자는 복경(福卿)이고 ..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11.26
상주학. 금요사랑방. 경상북도 종가음식 문화에 대한 소고 경상북도 종가음식 문화에 대한 소고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박 모 라 목차 1. 서언 1) 종가음식의 정의 2) 종가음식 연구현황 2. 경상북도 종가음식문화 1) 1900년대 이전 2) 1900년에서 1980년대 3) 1980년 이후 3. 결론 및 제언 1. 서언 종가란 ‘한 문중에서 맏이로만 이어온 큰집’으로, ..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11.26
금요사랑방 제127강좌 식산 이만부의 지행록 2018년. 11월 23일 금요사랑방 127강좌 - 국토산하(國土山河)의 대서사시(大敍事詩)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의 『지행록(地行錄)』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김재수 1. 들머리 우연한 기회에 『남인 사림의 거장 식산 이만부』라는 책을 읽었다. 그 책에서 그동안 지극히 단편적으로 알..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11.24
난재 채수 선생의 위기 일발 금요사랑방 124강 10월 12일 난재(懶齋) 채수(蔡壽)선생의 위기일발(危機一髮) 김철수 (상주문화원장) 1. 채수(蔡壽)선생의 이력 채수 선생은 어려서부터 문재(文才)가 뛰어나서 점필재(佔畢齋)선생이 선생의 저작을 보고 감탄하기를, “후일 문학으로 세상에 이름을 날릴 자는 틀림없이 이 ..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11.24
상주학. 상주문화원 금요사랑방 118강 興巖書院의 歷史와 文化 상주문화원 부원장 금 중 현 1. 머리말 2. 흥암서원의 설립배경 3. 配享位 동춘당 宋浚吉 4. 흥암서원의 연혁 5. 흥암서원의 文化遺蹟 6. 흥암서원의 儀禮 7. 맺음말 흥암서원의 역사와 문화 상주문화원 부원장 금 중 현 1. 머리말 흥암서원(興巖書院)은 조선말 서원훼..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05.11
상주학. 상주문화원 금요사랑방 117강 상주지역의 농서(農書) (1) 『위빈명농기(渭濱明農記)-전사문(田事門)』 상주문화원장 김 철 수 I. 머리말 고려시대에는 우리 풍토에 맞는 농서(農書)가 없었기 때문에 권농(勸農)차원에서 중국 최초의 관찬(官撰) 농서인 <농상집요(農桑輯要)> 등을 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중국..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05.11
상주학. 상주문화원 금요사랑방 제116강 상주가 낳은 성인(聖人) 개운조사(開雲祖師)생애와 사상 각근사 주지 무진행 ⚬ 지금 감추어진 성인을 드러내는 이유 조선이 500년간 사문난적과 억불 숭유로 유교 선비이외의 구도자를 천대하여 불가와 선문의 도인들이 세상에 나오기를 꺼려하였고, 일제는 곳곳에 명당혈을 끊어 조선..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05.11
상주학. 상주문화원 금요사랑방 제115강 管仲의 四維에 대한 현대적 의미 권세환 문경대학교 초빙교수 Ⅰ. 사유(四維)란? 인심(仁心)은 터희 되고 효제충신(孝悌忠信) 기동(棟)이 되야 예의염치(禮義廉恥)로 가즉이 녜여시니 천만년(千萬年) 풍우(風雨)를 만난들 기울 줄이 이시리. 소학(小學)에서는 예의염치(禮義廉恥)를 사유(四..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05.11
상주학 상주문화원 금요사랑방 114강좌 同春堂 宋浚吉의 性理學 黃義東(충남대 명예교수) 1, 序言 宋浚吉(1606~1672)은 17세기 조선조의 대표적인 유학자로서 기호학파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다. 위로는 栗谷, 沙溪, 愼獨齋의 학문을 계승하였고, 그의 문하에는 屯村 閔維重, 霽月堂 宋奎濂, 霽谷 黃世貞, 藥泉 南九萬 등이 있었다. .. 상주학/상주학 제9권 2018.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