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단체/종교단체

상주의 개신교 전래 소고

빛마당 2010. 10. 8. 20:28

 

상주지역 개신교의 전래

1. 들어가면서

 역사는 미래를 향한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이며 과거는 현재의 거울이자 미래의 지표이다. 그래서 역사를 기록하고 편찬하는 일은 과거를 살피며 현재를 더욱 충실히 하고 미래의 발전을 모색함에 큰 의미가 있다. 다시 말하면 역사는 과거의 기록이지만 동시에 지향해야 할 미래를 가리키는 나침반이기도 하다.

 이 땅에 개신교가 들어 온지 120년이 지났다. 그리고 상주에 교회가 세워져 이미 110주년을 넘긴 교회도 여럿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 상주의 기독교 교회사를 일별 해 보는 일은 역사적인 자료의 정리나 개 교회가 알지 못하는 자신들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일이기에 매우 유익하리라 믿는다. 그러나 상주지역의 교회들이 개 교회의 역사를 살피는 일에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은 보존된 자료의 빈곤이란 점이다. 특별히 기록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탓에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고 바르게 기록하는 일이나 기록한 내용들을 보관하는 일에 등한시했고, 개 교회는 그나마 있던 자료마저 유실, 소실, 되고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역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개 교회는 교회사를 편찬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때를 맞추어 지역권역별로 사료들이 정리되고 있음은 그나마 다행한 일이다.

 여기서는 상주지역에 기독교 복음이 전파되어 교회가 설립되기까지의 과정 즉 한국 교회사의 일면으로 개괄해보고, 경북지방의 교회 설립 과정에서 경서지역(상주, 문경, 선산, 김천)에 설립된 교회를 살피면서 그동안 기록물 속에 잠자고 있는 내용들을 찾아내어 상주에 새워진 교회들의 실상을 지극히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각 교회마다 6․25이후의 사항은 그 내용이 광범위 하여 그 이전으로만 제한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교단마다 자료를 다 살펴야 하나 지 교회에서의 자료 제공이 원만하지 못하고 필자가 각 교회에 대한 자료를 다 살펴보기란 어려운 일이어서 이 지역에 우세한 장로교단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음을 밝히고 자료가 제공되면 타 교단의 기록도 소개 할 것이다. 

  다행이 『경북기독교회사』1)의 발간과 『경북교회사』2)의 편역, 그리고 비록 복사본이기는 하나 『조선야소교 장로회 사기』3)와 『경상노회록』4),『경북노회록』5)은 이 지역 교회사를 일별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2. 선교사의 입국

 

  가. 알렌의 입국

1882년 5월 22일 미국과 수호조약을 맺게 되자 오랜 쇄국의 잠에서 깨어나 조선은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 이어 1883년 한국에 미국공사관이 설치되고 한영수호조약,  1886년 한불수호조약을 맺게 되고 아울러 신앙의 승인까지 포함시켰으니 국외로부터 갈망하던 한국 선교의 물꼬가 열린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1884년 미국 공사관이 중심이 되어 서양인 의사를 구하게 되었다. 한편 중국 산동성 주재 레이드 목사는 본국의 선교본부에 한국선교를 촉구했고 이미 상해에 잠시 와 있던 알렌(Horace Newton Allen 安連)이 한국으로 갈 것을 지망했다.

 알렌 의사는 1884년 6월 22일 선교부의 허락을 받았고 9월 14일 상해를 떠나 1884년 9월 20일 제물포(지금의 인천)에 도착하였고 이틀 후 9월 22일 서울로 올라왔다. 그 당시의 입장으로 보면 알렌은 미국 공사관의 의사 자격이었지만 미국 북 장로교 입장에서는 미국에서 파견한 선교사 자격이었다.6)

 1884년 알렌이 들어오던 해 12월 4일 우정국 낙성식을 기회로 김옥균, 박영효 등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으로 민영익이 빈사의 상태에 빠진 것을 알렌이 의술로 구출하였다. 이 사건으로 알렌은 고종과 민비의 총애를 얻게 되고 어의(御醫)로 임명을 받았다. 그것은  한국 선교의 결정적인 동기가 되었고 의술을 통해 세 번이나 훈장을 받으면서 선교 사업에 큰 도움을 주었다. 1886년 알렌이 병원 설립의 허락을 받아 광혜원(廣惠院)을 설립하였으니 이것이 세브란스 병원의 전신이 되었다.7)

광혜원 : 미국 북 장로회 선교사로 최초로 내한(1884년 9월)한 알렌이 고종의 윤허를 얻어 설립한 국내 최초의 서양식 병원

   

  나. 언더우드와 아펜셀라

 미국 북 감리교회와 북 장로교회는 한국에 복음 선교사를 파견하려는 계획을 구체화 시켰다. 그리하여 1885년 4월 5일 부활절에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 元杜尤)와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부부가 제물포항에 도착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정세가 불안정하여 미국공사의 만류로 아펜셀라 부부는 다시 일본으로 들어갔다가 2개월 후인 6월에 재입국했고 언더우드는 전술한바 1885년 1월에 일본에 도착하여 이수정을 만나 그가 번역한 마가복음을 받고 그를 통해 한국어를 공부하여 준비한 후 4월에 한국에 입국한 것이다. 그의 나이 26세였다.

 서울에 들어온 언더우드는 알렌이 설립한 광혜원 학생들에게 물리와 화학을 가르쳤고 알렌을 도우면서 한국어 학습에 열중하였다. 그리고는 곧 거리와 시골로 나가 한국인을 접촉하며 복음전파에 전념했다. 1886년 7월 11일에 언더우드는 한국에 온 후 최초로 노도사(魯道士 노춘경이라고도 함)에게 세례를 베풀었으며 솔내교회를 설립한 서상륜은 서울로 와서 언더우드를 송천에 초청하였다. 그리하여 1887년 가을에 다시 솔내교회를 방문하여 한국 최초의 교회 교인 7명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서상륜의 동생 서경조의 아들 서병호(새문안교회 장로)에게 한국 최초로 유아세례를 베풀었다. 이 당시 서울에는 약 70여명의 신자가 있었으나 아직 교회가 없어 언더우드 선교사는 서울에 교회를 세울 것을 알렌과 같이 협의하였다. 드디어 그가 서울에 도착한 지 2년 후인 1887년 9월 27일 언더우드 선교사의 사랑방에 14명의 신자들이모여 예배를 드렸다. 이것이 서울 새문안교회의 창립이다.


  

 새문안교회 : 1887년 조직교회로서는 최초로 한국에 세워진 교회(좌)

정동제일교회 : 한국최초의 감리교회로 1887년 설립(우)

 

 한편 아펜셀라 목사는 1885년 4월에 입국했다가 일본으로 출국, 다시 그해 6월에 재입국하여 활동하다가 정동(貞洞)에 집 한 채를 구입하여 1887년 10월 9일 예배를 볼 수 있도록 했는데 이를 ‘ Bethel 예배당’이라 하였다. 이 교회가 오늘날 정동제일교회요 감리교회의 출발이다.8)


         아펜젤러(좌)와 언더우드(우)


3. 우리나라 개신교 유입의 특징

지금까지 기독교 전래의 역사를 경교로부터 시작하여 개신교의 복음 선교사들이 입국하는 데까지 개관하여 보았다. 이 땅에 천주교라든지 개신교가 들어오게 된 경위를 보면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그것은 첫째, 둘 다 한국인들의 자발적인 요구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을 거꾸로 말하면 선교사가 한국에 들어오기도 전에 이쪽에서 기독교를 먼저 알려고 했고 또 기독교를 수입하려고 한 노력이 있었다. 개신교의 경우는 개화인들 가운데서 개화나 부국강병, 문화적인 욕구와 관련하여 기독교를 들여와야 한다는 생각도 갖고 있었다.

 또 하나의 특징은 한국의 경우, 성서가 선교사보다 먼저 들어왔다는 것이다. 천주교의 경우는 천주교를 소개하는 책자가 먼저 들어왔고, 개신교의 경우는 성서가 먼저 들어왔다. 이런 것이 한국 기독교 전래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한국인들의 기독교 수용의 의지나 역할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셋째로 개신교의 선교 방법에 있어서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피선교국 다시 말하면 한국의 입장이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서 의료라든지 교육 같은 것을 먼저 들여보내고 이것을 통해 기독교에 대한 편견이나 오해를 제거한 후에 복음을 전달하려고 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9)


4. 한국교회의 시작

 

  가. 한국인 최초의 세례자

한국인으로 최초의 세례교인은 1876년 만주의 고려문과 우장에서 메킨타이어 선교사에게 신학문을 공부하던 이응찬, 백홍준, 이성하가 마침내 성경을 읽고 마음을 열어 로스 목사에게 세례를 받은 최초의 한국인 세례자가 되었다.10)

 

   나. 최초의 교회 솔내 교회(松川敎會)

만주에서는 서상륜(徐相崙)이 로스 목사와 매킨타이어 목사의 도움으로1882년 성경 번역을 하던 1884년 봄, 그의 고향인 황해도 장연현 대구면 송천동(長淵縣 大救面 松川洞) 솔내(松川:九美浦)에 가서 가족들과 함께 정착하여 복음을 전하였다. 이에 새워진 최초의 한국 교회가 솔내 교회이다.11) 이어 1885년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선교사는 장연의 솔내 교회를 방문하고 서경조의 아들 서병호에게 세례를 주었다.12)

  

   다. 첫 한국교회 유아세례인과 첫 장로

우리나라 교회의 첫 시작은 1885년(乙酉) 의주 사람 서경조(徐景祚)가 중국으로부터 복음을 듣고 귀국하여 황해도 에 이주하고 그 형 상륜(相崙)에게 성경서적을 다수 얻어 동네에 전파하여 신자를 소집하였으니 이가 송천교회(松川敎會)의 창립이었다. 그 해 여름 서경조는 서울로 올라와 언더우드 목사에게 세례를 받고 그 해 가을 언더우드 목사는 송천에 순행하면서 경조의 아들 서병호(徐丙浩)에게 세례를 주었다.13)

1886년 7월에 노춘경이 국내에서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세례를 받음으로 기록되고 있고 1887년 1월 서경조, 최명오, 정공빈이 언더우드선교사에게 세례 받음으로 본격적인 전도가 시작이 되었는데 1887년 9월 27일 언더우드의 집인 정동 13번지 사랑방에 로스와 한국인 신자 14명이 참석하여 교회가 설립되니 이가 새문안 교회이다.14)및  그리고 언더우드 목사는 장로교의 조직을 따라 장로를 세우니 초대 장로로 서상륜(徐相崙) 백홍준(白鴻俊)이 로스 목사로부터 장로 직을 수수하고 유급 전도사로 일하게 되었다.15)

 한편 1888년(戊子)에 선교사 언더우드는 각지에 순례를 마치고 선교계획을 확정한 후 다시 순행을 하여 황해도 장연의 송천에서 7인에게 세례를 주고 교회를 설립한 후 매서인(賣書人)을 선정하여 경성 근방, 장연 근방, 평양근방, 의주 근방에 전도하니 이는 조선 교역자의 임명의 초보였다.16)

 

   라. 아펜셀라와 배재학당

1885년 아펜셀라(Henry G Appenzeller) 선교사는 서울에서 학당을 개설하였는데 1886년 고종황제는 이를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을 하사하게 되고 언더우드의 새문안 교회 설립에 자극을 받아 배재학당 학생인 고영필에게 세례를 주고 1887년 10월 9일 자신의 집 ‘베델 기도실에서 창립예배를 드리니 이가 감리교 첫 교회인 정동교회의 시작이다.17)

   마. 최초의 한국인 순교자 백홍준

1887년 9월 27일 새문안 교회에서 장로 직을 받은 백홍준은 한국 최초의 조사(助師가)된다. 1892년 만주에서 전도여행을 하던 중 선교사와 내통했다는 죄목(禁敎傳道)으로 만주 봉천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는 거기서 2년의 옥고를 겪던 중 1894년 우리나라 장로로는 첫 순교자의 길을 걸었다.18)


5. 영남지방의 장로교 전래

한편 영남 땅에 장로교 선교사로 첫 발을 디딘 것은 1889년 8월로 캐나다의 개신교 선교사 게일(James Scarta Gale, 1863~1937)이었다. 그는 부산에 주재한 장로교의 첫 선교사로서 이 지역 선교를 위한 탐색과 연구의 기간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하디 의사(Dr. Robert A. Hardie) 부처의 내한과 부산지역에서의 의료선교 였다. 약 2년 동안 게일과 함께 선교사역에 동참하면서 부산지역 전염병 퇴치와 환경 개선 사업에 힘썼고 북 장로교 선교사인 베어드(Rev. William M. Baird 裵偉良. 1862~1931)을 도와 부산 초량교회 설립에 기여한 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호주 장로교회 소속 선교사 데이비스(Rev. joseph Hanry Davies, 1856~1890)와 그의 누이 메리 데이비스(Miss Mary Davies)도 한국선교를 자원하여 1889년 10월2일 부산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그는 건강이 악화되고 마침내 천연두와 폐렴이 겹쳐 한국에 온지 6개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호주 빅토리아 장로교회의 한국 선교에 불을 붙여 부산 경남 지역의 선교 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선교는 미국 북 장로교 선교사인 윌리엄 베어드 부부였다. 베어드 부부는 1891년 2월 2일 부산에 도착, 그 해 9월부터 본격적인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베어드는 주로 개인 전도와 지역 순례를 통해 신자들을 확보해 나갔고 그 자신의 방을 개방하여 사랑방으로 활용하여 전도를 위한 접촉점으로 삼았다. 그이 방은 ‘동네 사랑방’으로 불리고 주 3회의 정기 모임과 기도회가 시작되었으며 마침내 1894년 영남지방의 어머니 교회인 대한예수교 장로회 초량교회가 설립되기에 이르렀는데 이 교회는 평양 장대현교회와 같은 해에 창립되는 영광을 얻었다. 이로서 1890년 서울의 새문안교회가 선지 3년 후 한강 이남지역에서 세워진 최초의 교회가 된 것이다.19) 


6. 경북지방의 장로교 전래

가. 베어드(Rev. William M. Baird)의 전도여행

경북지방에 장로교가 전래된 것은 부산에서 선교사역을 감당하던 베어드가 대구를 방문한 때부터이다.

 베어드는 1893년 4월 17일부터 5월 20일까지 1,240리의 대장정을 교통이 불편한 경북 지역을 처음으로 전도 여행을 했다.

  개신교 목사로서 처음 경북지방을 답사했다는 것은 경북지방 선교의 효시가 되는 중요한 선교 여행인 것이다. 베어드는 1893년 4월 22일에 서경조(徐景祚) 전도사와 함께 대구에 들어 왔는데 대구에서 3일간을 머물고 다시 25일 동명을 지나 상주, 안동, 의성, 신령, 영천, 경주, 울산을 경유하여 다시 부산으로 돌아가는 여정이었다.

 베어드는 대구를 방문하면서 “전도할 틈은 없었어나 많은 서적을 나누어주었다.”고 고백했는데 아마 청중을 대상으로 한 전도나 강연은 할 수 없었고 다만 기독교를 선전하는 책자를 배포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1893년 4월 22일은 대구에 개신교가 전해진 날이 되었다. 20)

 한편 베어드는 다시 두 차례 대구를 방문했는데 대구는 경상도 북부지방의 중심도시며, 인구가 많고, 낙동강을 통해 서울과 부산이 연결되는 지점이며, 경상감영이 있는 행정의 중심지요, 약령시가 열리는 상업의 중심지로 파악하여 대구를 선교의 전략지로 삼았다.21)


나. 대구제일교회의 설립

베어드는 1895년 12월 대구에 선교기지를 물색하였는데 1896년 1월에 구입한 남문 안에 위치한 정완식 씨의 대지 420평 초가 5동 20여 칸과 와가 1동 6간의 큰집을 구입(435원 50전을 주었다고 함)하였다.22)

 이후 베어드는 1896년 그의 처남인 아담스(Rev. James Adams 安義窩)에게 대구 선교 업무를 인계하고 평양으로 옮겨 선교활동을 하였다.

 아담스는 1895년 5월 29일에 부산에 도착하여 한국어를 배우면서 대기 중이었는데 1897년 11월에 부인과 아들, 그리고 그의 어학 선생이던 김재수(金在洙)와 같이 대구에 도착하였다. 김재수는 상주출신으로 병을 치료하기 위해 부산 선교부에 갔다가 예수를 믿고 세례를 받은 사람이다. 그는 후에 이름을 김기원(金基源)으로 개명하였는데 경북지방 최초의 교인으로 기록되고 있다.

 베어드가 구입한 남문 안 사랑방은 1897년 12월에 대구에 온 존슨 의사(Dr. W. O. Johnson, 張仁車) 부부와 아담스 부부가 날마다 예배를 드렸고, 주일날은 김재수와 두 선교사 가족(아담스 가족 4명, 존슨 가족 2명 김재수) 등 7명이 모였는데 이들의 모임이 남문안 예배당의 시작이고 오늘 대구 제일교회(원 이름은 남성동 교회 또는 남성정교회)의 전신이 된다.

 여기서 대구제일교회 70년사에는 대구제일교회의 창립교인으로 안의와 선교사, 장인차 의사, 김재수 조사, 학습교인 서면욱(徐勉煜 일명 徐子明),과 부지 주인이었던 학습교인 정완식(鄭完植) 등 7명으로 밝히고 있다. 이들은 경북에서 최초로 세례를 받은 사람으로 기록된다.


다. 부루엔(H. M. Bruen)의 선교 활동

부루엔(H. M. Bruen 부해리(傅海利)


부루엔(H. M. Bruen 부해리(傅海利), 1874~1957) 목사는 미국 북 장로교 선교부 소속의 선교사로 1899년 9월부터 1941년까지 42년간을 대구를 중심으로 경북지역에서 선교활동을 하였다. 특히 그는 경북 서북부 지방을 맡아서 순회 전도로 지역교회 설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경북 서북부 지역의 초창기 장로교회 대부분이 부루엔 목사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영향력을 끼쳤다.

1901년 김천군 아포면 송천동교회를 시작으로 1923년까지 김천지역에만 11교회를, 1900년부터 1904년까지 구미지역에 6개 교회를 1901년부터 1907년까지 성주지역에 2개 교회를 총 19개 교회를 직접 설립 또는 설립에 관여 했다.23)

그러나 이 외에도 1900년 영천군 대창면 조곡교회를 시작으로 군위군 소보면 봉황동 교회. 고령군 임천면 안림교회, 고령면 헌문교회, 칠곡군 인동면 진평교회, 왜관읍 왜관읍교회, 북삼면 숭오교회, 석적면 황학교회, 약목면 복성교회, 달성군 현풍면 하동교회, 상주군 화서면 사산교회, 상주면 서정교회 까지 설립한 기록을 보면24) 1911년까지 2개 교회를 더해 모두 31개 교회를 설립하였거나 관여 한 것을 나타났다.

 그는 지역을 순회하면서 교회가 없는 곳에는 전도 집회를 통해 교회를 직접 설립하였고 이미 신자가 생긴 곳에는 교회를 설립하도록 하였으며 각 교회마다 주일학교를 열 개하여 신교육을 하게하고 각 지역마다 조사(助事)나 영수(領袖)를 세워 교회를 유지하게 하고, 전도부인(Bible Woman)을 세워 전도하기도 하였다.25)

 


 

7. 상주의 교회 시작

  가. 경북지역 최초의 교인은 상주 사람 김재수(金在洙)

베어드 선교사가 1893년 4월 17일에서 5월 20일까지 경북 지방을 순행하게 되었다. 이 때 동래를 출발하여 밀양, 청도, 대구, 동명, 성주, 인동, 낙동, 상주, 안동까지 왔다가 다시 의성, 신령들을 거쳐 경주, 울산을 지나 부산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이 때 1893년 4월 27일 상주에 도착하여 마침 상주 장날이어서 간신히 방을 구하고 28일 여러 권의 도서를 팔았다. 여기서 주목할 사실은 이미 전에 알고 있던 신자인 김 서방이란 사람을 만나게 된다. 여기서 말한 김 서방은 부루엔의 기록에 따르면 바로 상주 사람으로 경북 최초의 장로 교인이 된 김재수(金在洙)이다. 그는 젊은 시절 심한 종창을 앓던 중 부산 선교부에 용한 의사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1891년에 걸어서 부산 선교부를 찾게 되고 그곳에서 하디 의사를 만나 예수를 믿게 되고 세례를 받게 된다. 세례교인이 되어 고향에 온 그는 문중에서 많은 핍박을 받았다. 그러던 중 1894년 베어드 목사를 만나 부산으로 내려가게 되고 1895년 5월에 아담스 목사를 만나 아담스의 한국어 선생이 되었다. 아담스 목사가 1897년 가을 대구선교지부로 부임할 때 함께 동행 하여 남문 안 선교기지에 살면서 자연스럽게 아담스 목사의 조사가 되었다. 1897년 존슨 의사가 와서 남문 안에서 예배를 드리기 시작 했을 때 이 예배에 참석한 최초의 유일한 한국인이다. 그는 훗날 경북 최초의 목사가 되었다. 이 김재수가 곧 김기원 목사이다.26)

경북 최초의 장로교인 김재수

 

   나. 상주 출신의 교역자 이희봉(李熙鳳)

경북 상주 출신으로 일찍 기독교에 입교한 이는 상주 출신 이희봉을 들 수 있다. 그는 교역에 뜻을 두어 부해리의 조사가 되었는데 1901년 선산 죽원교회(지금의 대원교회)의 조사로 시무하기 시작하여 1915년까지 선산, 김천, 칠곡, 상주 등에서 조사로 시무하였다. 1910년 상주서정교회에서 보성의숙을 개설 성경을 비롯하여 역사, 지리, 산수 국어 등 을 가르쳤다. 1916년 평양장로회신학교를 제9회로 졸업하고 같은 해 목사안수를 받았다. 그해 상주지방 11개 교회에서 이희봉 목사는 방혜법 선교사의 동사목사로 시무하였다. 1918년 경북 노회장(3-4회)을 지냈고 1921년 대구제일교회에서 분립한 대구 칠성동교회가 창립되면서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상주 남문밖교회를 개척하였고, 1937년27) 상주서정교회와 남문밖교회가 합병되면서 원로목사로 추대되었다.28)

   

  다. 상주지방의 장로교회 설립

 문헌에는 상주에 교회가 설립되기는 1908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식적인 기록은 상회(노회)에 보고가 된 후부터 라고 보면 실제로 지역교회의 출발은 훨씬 이전으로 소급될 수도 있다. 오늘날 오광교회나 상주교회, 상주시민교회가 이미 교회 자체의 연혁으로 100주년이 넘었다는 것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공식적인 기록으로 나타난 교회는 1908년이 상주에 교회가 설립된 최초의 해로 기록된다.

 대구 남성정교회가 세워진 해가 1896년이라고 보면 12년 후의 일이다. 1900년부터 이미 경북지역에 36개의 교회가 세워졌고 가까운 선산에만 해도 1900년 이후 옥성면 죽원교회(현 대원교회)를 시작으로 8개 교회, 김천지역이 10개 교회가 설립된 이후이어서 원인이야 있었겠지만 다소 늦은 감이 없지는 않다. 아마 선교사들의 활약이 대구를 중심으로 북부지역으로 점차 확대되면서 경북 북부지역에 위치한 상주가 기독교의 접촉이 늦어 진 이유가 아닌가 짐작된다.

 그러나 상주교회․상주시민교회 연혁에는 구전으로 전해 내려온 것을 근거로 하여 1900년 5월에 정씨라는 한 부인에 의하여 상주읍 서성동 소재의 집 4칸을 구입하여 성명 미상의 전도사가 가 교회를 설립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데29) 이 시기는 경북지역 전반에 교회가 한창 세워 질 시기이다.

 위에 언급한 대로 대부분의 교회는 그 설립시기를 확실하게 알 수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한국 장로교회 정치 체제상 교회 초기부터 문서로 기록을 남긴다는 것이 어려웠고, 대부분의 교회가 당회가 조직되기 전부터 존재 했으며, 당회 기록마저 소  실 유실된 경우가 많고, 또 하나 선교사들이 지역 교회를 관여하면서 신앙공동체가 본격적인 교회로 정착되자 대부분 자신의 선교 사역이 시작된 때로부터 설립연도를 잡은 점이다. 아울러 공식적으로 노회나 총회에 보고 된 내용과 교회 자체적인 기록은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30) 이제 경북교회사나 교회사기에 기록된 순서로 상주지역에 세워진 교회를 1950년 연간으로 한정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서정교회

 서정교회는 상주읍교회 이전의 명칭이다. 상주교회․상주시민교회 연혁에는 구전으로 전해 내려온 것을 근거로 하여 ‘1900년 5월 정씨 부인에 의해 상주읍 서성동 소재의 초가 4칸에서 전도사(미상)가 교회를 개척하였다’라 기록하고 있다.31) 그러나 경북 교회사의 기록에는 1910년 상주군 상주면에 서정교회(현 상주교회․ 상주시민교회)가 세워졌다고 되어있다. 교회사 기록에 따르면 선교사 부해리와 대구 남성정 교회 교인 서희원(徐熙媛) 여사가 각 50원을 기부하여 예배당을 건축하고, 부해리가 설립자로, 송병근(宋秉根)을 영수로, 최대익(崔大益)을 집사로 임명되었다.32)

1909년 3월 1일 이희봉 목사가 부임했다고 상주교회․상주시민교회 연혁은 기록되어 있으나 이 때 이희봉씨는 조사로 시무하였고, 1916년 경상노회 제 12회 노회에서 청원을 받아 목사로 장립하였으며 정식 목사로 시무하였다.33) 1918년 6월 20일 위임 허락할 것을 노회에 청원하였다. 한편 상주교회․상주시민교회 연혁에는 1909년 이희봉 목사가 보성의숙을 개설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34)

 1914년엔 영수 박동수를 김덕서, 최병옥으로 대신하고, 집사 김기업, 김성칠을 대신하여 김일문이 시무하였고, 그 때 교회 내에 학교를 설립하였다.35) 1920년 보성여자학원(普成女子學院)과 부인야학교(婦人夜學校)를 설치하였다. 대구 선교부인 성마리다(成馬利多)가 본 학교를 위하여 200원을 헌금하고 김재돈, 조경삼, 유덕규, 이희봉 등이 각 50원을 헌금하였다.36)로 되어 있는데 상주시지에는 이와 좀 다른 내용이 나온다. 1910년 상주교회 이희봉 목사는 보성의숙을 개설하였다. 이 학교는 성경을 비롯하여 역사, 지리, 산수, 국어 등을 가르쳐 낙후된 지역교육의 멍에를 벗고자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것을 실천한 셈이다. 아울러 서정교회는 1949년 5월에 이 지역 첨으로 상주유치원을 개설하였다.37) 또 다른 기록을 보면 1928년 6월 5일 서정교회에 유치원을 인가받았고 불신자 중 특지가가 풍금 1대를 기증하였다는 서북 시찰장 이희봉 씨의 보고와 이어 여자 야학교를 설립 학생은 40여명이요 많은 재미를 보고 있다고 하였다.38)

 서정교회가 새로운 교회를 신축한 것은 1920년이다. 제7회 경북노회 서북지방보고서에는 ‘상주읍교회서는 수천원의 거액으로 20 여 간 예배당을 굉장히 건축하였사오며..’39) 로, 이어 1921년엔 헌금교인이 이미 80여명이요 교인 중 한 분이 100여원 가치의 종을 사서 달았다고 기록되어 있다.40)

  

   2) 사산교회

사산교회는 1903년 3월 15일 부루엔(한국명 : 부해리) 선교사와 성도들에 의해 세워졌다. 그러나 총회 기록에는 1908년 3월 8일로 기록되어 있다. ‘1903년 3월 15일’이란 기록은 성도들의 구전에 의한 기록이다.41) 이러한 차이는 교회가 세워지기 전에 신앙공동체가 있었음을 말하며 때로는 이 공동체가 가정교회일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경북 기독교회사와 경북교회사 기록을 보면 1908년 상주 화서면 사산 2리에 세워진 교회로 신자 여러 명이 특별한 규칙 없이 모여 예배하다가 선교사 부해리의 인도로 교인들의 헌금 54원으로 6칸짜리 초가집을 구입하여 교회를 설립하였다. 여기서 부해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미 외부로부터 복음을 받은 이들의 신앙공동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1908년은 교회의 시작이지 복음의 시작은 아니라는 의미와 같다.42) 한편 1909년  이문주 조사가 석산, 사산교회를 겸임하였고 1911년 사산교회는 조사 이문주(李文主)가 사면을 하고 권국진(權國鎭)으로 교체되었고, 1912년 김익현(金翊現)이 조사로 시무, 1918년 조사 이희봉(李喜鳳)이 사산, 화산, 금흔, 오리원, 오광 6교회를 사면하고 조사 서상용(徐相龍)으로 교체하였다. 1922년 서상룡 조사를 대신하여 김의경이 사산, 금흔, 화산, 오리원, 오광, 각 교회를 겸임하였다.43)

 

  

   3) 금흔교회

금흔교회 역시 1908년 사벌면에 세워진 교회로 신자 몇 명이 교회를 설립하였는데 조사로 최군중(崔君仲이) 시무하였다.44)

  1918년 조사 이희봉(李喜鳳)이 사산, 화산, 금흔, 오리원, 오광 6교회시무를 사면하고 조사 서상용(徐相龍)으로 교체하였다가 1920년 서상용은 다시 금흔, 오리원, 오광, 화산교회를 사면하고 김의경(金義敬)으로 교체, 1921년에는 다시 조사 김의경 대신 서상룡이 화산 오광 오리원을 겸임 시무, 1922년 김의경이 사산, 금흔, 화산, 오리원, 오광 각 교회를 겸임하였다.45) 결국 서상룡과 김의경이 서로 교체 시무하게 되었는데 불행하게도 경북교회사에는 1922년까지 기록밖에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중덕교회 설립 배경을 보면 ‘1921년 3월, 중덕리 156번지에 대지 200평을 매입하여 예배처소를 세우고 ‘중덕교회’라 이름 하였다.’라고 증언하는데46) 사벌면 금흔리 325번지에 사는 김치부(83세) 할머니를 만나 본 결과 금흔교회는 지금의 충의사(금흔2리) 앞에 교회가 있었고(지금은 감나무 밭으로 변해있었음) 김치부 씨의 시부되는 석기모 영수가 교인들이 줄어들자 지금의 중덕리로 교회를 옮겨 중덕교회를 설립했다고 증언하였다.47) 이로 미루어 금흔교회는 1921년에서 1923년 연간에 교회가 없어지고 중덕교회로 옮겨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4) 화산교회

화산교회 역시 1908년 2월 낙동면 화산리에 세워졌다. 교인 중 박동언(朴同彦)이 16원으로 3칸짜리 초가집을 구입하여 예배당으로 봉헌하고 교회를 설립하였다.

 그 시작은 낙동면 신상(음지마을 1052번지)에서 박동언 영수의 집에서 예배를 드렸다. 이어 1930년 3월에 장사진, 김주봉 영수의 협력으로 방 1칸의 기도실을 확장하고 건평 14평의 교회를 신축하여 대한예수교 장로회 화산교회라 하였으며 1948년 5월에 김주봉 영수를 초대 장로로 장립하여 당회를 조직하였다.48)

  

   5) 오리원교회

 역시 1908년 신자들이 출연한 헌금 16원으로 4칸짜리 초가집을 구입하여 교회를 설립하였다. 오리원 교회는 1908년 설립된 상주의 교회로서는 현재 오리원이란 이름으로 전해오지 않은 교회이다. 교회가 서 있던 자리도 분명하지 않고 오리원이라는 지명도 이미 많은 이들로부터 잊혀 진 상태이나 현재 낙동면 용포리 용포초등학교와 농협 부근을 사람들은 원이라 불렀다는 증언은 들었다. 농협 앞에 서 있는 비석이 원래는 역마를 나타내는 비석이었는데 비문을 깎아내어 농협이름을 새겨 새웠다고 주민들은 말하고 있다.


 

   6) 오광교회

1908년 상주 공성면에 세워진 오광교회는 김성률(金聖律)49) 또는 김성택50)이 땅 50평을 헌금하고 일반 신자는 30원을 헌금하여 3칸짜리 초가집을 건축하여 교회를 설립하였다.51) 그러나 오광교회도 이미 이 전에 교회가 시작되었음을 오광교회 성도들이 증언하고 있으며 이들도 이미 100주년 기념예배를 드린 경우이다.

 오광교회 요람의 연혁을 보면 1904년 1월 상주군 공성면 금계리에 건평 10평을 건립하고 김필구 씨의 주동으로 약 40여명의 결신자를 얻었다. 이어 1909년 4월 엄말술 씨와 곽유근 양씨가 주동이 되어 금계리에서 오광리 175번지 엄말술 씨 댁으로 이전 건평 12평을 건축하였다.52)

이후 1838년 500여원을 들여 20 여 평의 함석집으로 교회를 신축했다.53) 그러나 오광교회 연혁에는 1940년 4월로 기록되어있는데 아마 착오일 것 같다.

   

   7) 석산교회

1908년 상주 모서면에 석산교회가 세워졌다. 이전에 몇 명의 신자들이 인도자가 없어 모서면 소정리에 예배 처소를 정하고 회집하다가 그 때에 본리(本里)에 교회를 설립하고 선교사 방혜법(Herbert E. Blair. 1879~1945 邦惠法)이 설립자로, 조사는 정재순(鄭在淳)이 사산교회와 겸임하였다.54) 한편 1909년 이문주 조사가 사산, 석산 겸임조사로 1911년 석산(사산)교회는 조사 이문주(李文主)가 사면을 하고 권국진(權國鎭)으로 교체되었고, 1912년 김익현(金翊現)이 조사로 시무, 1918년 조사 이희봉(李喜鳳)이 사산, 화산, 금흔, 오리원, 오광 6교회를 사면하고 조사 서상용(徐相龍)으로 교체하였다. 다시 1920년 서상용은 금흔, 오리원, 오광, 화산을 사면하고 김의경(金義敬)으로 교체, 1921년 조사 김의경 대신 서상룡이 화산, 오광, 오리원을 겸임 시무, 1922년 석산교회는 영수 김제명(金濟明), 이만중(李萬重), 황학팔(黃鶴八)과 집사는 김제선(金濟善), 이만기(李萬基), 김만용(金萬容)이 함께 시무하고 조사는 서상룡을 대신하여 김의경이 다시 사산, 금흔, 화산, 오리원, 오광 등 각 교회를 겸임하였다.55)


   8) 함창교회

1909년 3월 15일 부해리(H. M. Bruen) 선교사의 도움으로 상주시 이안면 증촌리에서 시작되었다. 1919년 7월에 함창읍 구향리에서 주일집회를 시작, 권중한 전도사가 첫 시무를 하였다. 1920년 3월에 함창읍 오사리에 예배당을 건축하게 되었고, 1921년 정봉덕 전도사가 부임하여 2년 3개월을 시무하였다. 1930년에 이르러 일제의 심한 박해로 부득이 교촌리로 이사를 가게 되었고 1945년 현 함창읍 구향리 130번지에 25평의 예배당을 건축하고 이사를 오게 되었다. 1948년 12월에 오형기 목사가 부임하여 1950년에 최초로 당회를 조직하고 1951년 9월 양범교회를 개척하였으며 1953년에 가장교회를 개척하기도 했다.56)

한편 1935년, 이 때 교회가 심히 어려워 거의 없어질 지경에 이르다가 조영규 전도사가 노회에서 파송을 받아 열심히 전도한 결과 교인이 80-90명에 달했다.57)는 기록을 보면 교회가 심히 어려움이 있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9) 옥산교회

1919년 3월 7일 상주군 공성면 옥산리에 위치한 옥산교회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 교회의 설립에 대한 경위는 밝혀진 자료가 없는 상태이다.58) 그러나 오광교회 연혁에는 1924년 1월 옥산교회가 분립하다로 되어있다.59) 한편 옥산교회 연혁에는 1919년 3월 7일 오광교회에서 분립하여 옥상동 초가 20평 예배당에서 곽부용 영수의 예배 인도로 성도 약 20여명이 모여 시작했다.60)라고 기록되어 있고 다른 한편 1934년 12월 11일 제 33회 경북노회 서북시찰 보고서에 ‘상주 옥산교회는 400여원으로 함석집 20평에 예배당을 신축하였으며, 불신자중 유지 석영목 씨는 해 교회 예배당 신축공사를 위하여 기지 30 여 평과 건물 7 간 을 기부하였으며 또 불신자 유지 문영창 씨는 30원짜리 종 1좌를 기부 하였다.’61)라고 밝히고 있다.

   

   10) 수상교회

1919년 3월 3일 상주군 청리면 수상리 김문석 씨 댁에서 최초의 집회를 열었다. 

1922년 일반 신자의 출연금 50원으로 3칸짜리 초가집을 구입하여 설립자로 김문석(金文錫) 씨는 영수로, 최칠복(崔七福) 씨는 집사로 서상룡 씨는 순회 조사로 시무하였다. 1923년에 조사 서상룡이 사면하고 김의경 씨가 다시 시무하였다. 1930년 교회를 수상리 최칠복 씨 댁으로 이전하고 이어 1935년 수상리 389번지 대마산으로 교회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이어 1940년 수상리 주부회로 신축 이전하였고 1944년 임순태 영수가 장로로 피택, 1945년 11월 김환계 조사(장로)가 교역자로 부임하였으며 초대 최칠복 장로가 1947년에 장립을 하였다.62) 한편 1938년 경북노회 소병영 시찰장의 서북시찰보고에 의하면 20여 평에 굉장한 예배당을 600여원에 준공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63)


  11) 중덕교회

 상주군 사벌면 흔국리(현재 금흔 2리)에서 석기모 씨가 복음을 듣고 신앙생활을 하며 전도하던 중 1916년 3월 17일 현재 충렬사 옆 창고 앞 빈터에 예배처소를 짓고 예배를 드림으로 중덕교회가 설립되고 현 북부교회는 이 날을 교회 설립일로 지키고 있다.

 이들은 열심히 전도하여 낙상, 중덕에서도 믿는 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교회의 앞날을 생각하고 석기모 영수와 강용만, 신만국, 김행길, 강용건씨 등이 주선하여 1921년 3월, 중덕리 156번지에 200평을 매입하여 예배처소를 세우고 ‘중덕교회’라 이름 하였다.

 교역자로는 1921년부터 1931년까지 권연호 조사가 시무하고 1932년부터 1934년까지 이덕성 조사, 1934년부터 1940년까지 조영규 조사가 시무하였다.

 이 교회는 1941년 12월 29일 서상용 조사가 시무하던 중 당회장 주낙서 목사(당시 상주 시찰장)에 의해 강용만, 신만국 장로와 함께 당회가 조직되었다.

 1946년 교회가 부흥하여 최상수 조사가 목회하면서 예배당 25평을 증축하였고

1960년 김항성 목사가 목회하던 중 기존 예배당을  헐고 38.5평의 예배당을 교인들이 흙벽돌을 찍어 신축하였다. 이 교회는 1982년 3월 10일 교회 명칭을 중덕교회에서 북부교회(北部敎會)로 변경하였다.64)

   12) 부원교회

1925년경 현 상주시 부원 2리에 부원교회가 설립되었다. 1925년 당시 상주읍 죽전리 김칠만 씨의 건너 방을 빌려 서상용 조사의 인도로 예배를 보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부원교회의 시작이다. 1926년 3월 15일 현 부원에 있는 이덕지(후에 영수와 초대 장로로 장립) 영수를 주축으로, 성두식, 홍관식, 최연분 씨 등이 교회를 설립하여 부원교회라 칭하였다. 1936년에는 조영규 순회 전도사(부원, 중덕, 함창)가 시무하였고, 1940년에 와서야 서상용 조사가 부임하였다.65) 이어 1946년 12월 18일 초대 이덕지 장로가 장립되고 1948년 1월 12일 문찬규 목사가 첫 목사로 부임하였다. 1957년 2월 5일에 부원리 273번지에 목조 80평의 교회당을 신축 헌당하고 정석홍 목사를 위임하고 성봉환 씨를 장로로 장립하였다.66)

   

  13) 양촌교회

1930년 11월 현 상주군 상주읍 양촌리에 정재순 목사와 손주안 전도부인이 참석하고 대구 제중원 전도부에 의해 설립이 되었다. 제중원 전도부는(지금의 동산병원) 1921년 직원 26명으로 전도회를 조직하고 이 병원을 통해 고침을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전도여행을 나갔다. 이 전도여행은 예상외의 성과를 얻었는데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제중원 소속 전도인은 목사가 5명(박덕일, 김충한, 정재순, 김원휘, 강신창), 장로가 1명(허 일), 남전도사 2명(손영규, 황유하), 여전도사(전도부인) 10명(이주현, 정일선, 최경애, 송복희, 김남수, 최순은, 이민응, 김순애, 진기숙, 손주안)이었고 이들이 설립한 교회는 모두 112개이다. 양촌교회와 화령교회는 대구 제중원 전도부가 설립한 교회이다.67) 그러나 양촌교회 연혁에는 설립연도가 1930년 3월로 기록되어 있다. 1930년 3월 강신우 씨의 초빙으로 대구동산병원에서 파송한 정재순 목사의 전도로 강봉우, 조특이, 정순녀, 신경순, 신성님, 정상순 씨 등이 동사에 모여 창립예배를 드리고 1933년 양촌동 680번지에 집을 30원에 매입하여 예배처로 삼았다. 이어 1941년 5월 일제 당시 양촌동 725번지 강봉우 교우의 밭에 새 교회를 지어 예배를 드렸으며 이때 유춘근 조사가 시무하였다.68) 라고 밝히고 있다.


   14) 상주남문밖교회

1931년 이희봉 목사에 의해 개척되었다.69) 한편 노회록을 보면 1934년 노회에 이희봉 목사를 위임목사로 청빙하였는데 이때 청빙 목사가 불참하여 반려하기로 가결되었다라고 기록이 되어 있다.70)

 이어 1935년 12월 17일 경북노회에 임시노회에는 상주읍 남문교회 제직들이 분교 청원한 내용이 임사 제1부로 배속되고, 또 이어 1937년 3월 25일 제35회 제1임시회의에서 상주 시찰장 방혜법 씨의 남문밖교회에 이희봉 목사로 당회장 청원이 허락된 것71)을 보면 아직 미약하나 서정교회와 합병이 되지 않은 것 같다. 상주시민교회 연혁에는 1937년 5월에 남문밖교회와 서정교회가 합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경북노회 제36회 제 2 임시 노회록엔 1938년 8월 19일에 가서야 상주시찰장 주낙서 씨의 상주남문밖교회는 서정교회와 완전히 합동되었음으로 남문밖교회 폐지 신청은 받기로72) 허락된 것을 미루어 보면 서정교회와 이미 합병된 후 노회의 허락을 얻은 듯하다.

  

   15) 화령교회

 1935년 11월 상주군 화서면 신봉리에 화령교회가 설립되었다. 정재순 목사와 대구 동산 제중원 전도부에 의해 설립이 되었다.73)

 그러나 화령교회는 일제의 교회 박해와 신앙공동체 안에서 갈등으로 교회가 분리 된듯하다. 그리하여 나누어 진 교회는 교회로서의 면모를 유지하지 못하다가 지금의 화령교회는 광복 이듬해 1946년 3월 2일 화서면 하현리에 소재한 김창진 목사(대구 제2교회 원로목사)의 집에서 김성상 사모와 세 아들(김광정, 광웅, 광택)이 예배를 드리기 시작하면서 다시 교회가 시작되었는데 당시 축음기로 찬송가를 들려주자 축음기 소리가 신기하여 모인 아이들에게 노래(찬송가)를 가르치면서 자연스럽게 모임이 이루어 졌고, 처음에는 아이들을 중심이었다가 점차 청소년과 주민이 모이기 시작함에 따라 방을 틔우고 넓혀 예배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현재 화령교회 원로장로인 김상용 씨가 이 무렵 학생으로서 상현리에서 출석하게 되었고 김성상 사모의 부군인 김창진 목사는 당시 서울 남산 신학교 재학 중인 학생이었다.74) 아울러 화령제일교회는 교회 창립을 1954년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 역시 본래 화령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던 이들에 의해 설립된 교회가 아닌가 하는데 이 또한 당시의 상황을 증언할 만한 기록들이 남아 있지 않은 까닭이다.

 

  16) 신봉교회

1937년 3월 5일 서정교회에서 분립을 신청하고 경북노회가 이를 승인하여 상주군 상주면 신봉리 289번지에 교회를 설립하다. 안봉희, 김상걸, 안유경, 안창경 씨가 설립자로 되어 있다. 초창기 교회는 주로 설립자들의 가족과 이 지역에서 서정교회에 출석하던 교인들이 중심이 되었는데 안봉희 씨 소유 초가 앞마당에서 창립예배를 드렸다. 최초의 교역자로 서상용 조사가 순회시무를 하고 1940년에 이덕성 조사가 순회조사로 부임하였다. 1943년 일제의 탄압으로 교회공식예배는 중단되었으나 김상걸 씨 댁을 중심으로 비밀리에 예배를 드리다가 1947년 6월 6일 김상걸 씨 소유 신봉리 302번지에 초가 예배당을 신축하였다.75)

 그러나 경북노회기록에는 1935년 12월 17일 제34회 경북노회에서 서정교회 구내 신봉리에 교회를 분립하여 달라는 청원은 허락하기로 기록된 것을 보면 이미 신봉교회는 연혁 이전에 분리 된 것으로 판단된다.76)

이어 위의 책 1938년 8월 19일 시찰보고회 내용 중에는 상주군 신봉교회에서도 150원을 들여서 12평 신예배당을 건축한 일이 있다고 보고되었다.77)

  

  17) 공검동막교회

1938년 8월 19일 상주군 공검에 동막교회가 신설되어 전도인 1인 6개월간 파송 청원이란 기록이 나온다.78) 이어 상주 시찰장 주낙서 목사의 상주시찰 보고서에도 본 노회 장막전도대가 2차나 출장 전도함으로 신자 몇 사람이 생겨 여 성경학교 학우회에서 여전도인을 파송하여 많은 재미를 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현존 하는 교회인지는 아직 미지수이다.79)


18) 병성교회

 병성교회는 1945년 4월 13일 상주읍교회에서 분립 청원되어 이듬해인 1946년 3월 5일 박우만 씨가 병성동 회관에서 첫 예배를 드림으로 교회가 시작되었다. 이어 1949년 5월에 병성리에 첫 교회당을 신축하였고 1959년에 이상근 장로가 초대 장로로 임직하였다. 1969년 5월 25일 이명수 집사(현 원로장로)가 자기 소유 밭 388평을 헌납하여 교회를 금동골로 옮겨 1970년 교인들의 손으로 현 교회당을 건축하였다.80)


19) 상주제일교회

 상주제일교회는 1946년 8월 14일 당시 상주읍교회 교인이던 박정탁 장로, 이문수 집사, 노정삼씨 부친, 홍장운 권사, 박순남 집사, 박경남 집사 등 10여명이 상주읍 냉림동에 소재하고 있었던 박정탁 장로의 정미소 사무실에서 설립예배를 드림으로 상산교회로 설립이 되었다. 1948년 8월 증경 장로인 안승락씨가 교역을 담당하였고 1949년 1월 30일 박정탁씨가 장로로 시무하였다. 1949년 2월 증경 장로인 안승락 씨가 전도사로 부임하였고 1949년 5월 29일 상산교회 헌당식 및 설립 3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첫 목사님으로 1952년 임병길 목사가 부임하였고 1955년 5월 6일 상주읍 서성동 163번지 앙산 아래 당시 건평 72평으로 건축을 시작하여 1955년 10월 준공하였고 같은 해 7월 31일 상산교회를 상주제일교회로 그 명칭을 바꾸었다.81)


20) 상주서문교회

상주서문교회는 1954년 3월, 대구 성남교회 이인재 목사의 지원으로 강인자씨 댁에서 서문교회 설립준비예배를 드렸고, 같은 해 이홍재 목사를 모시고 상주읍 서문동 113-6번지에서 강인자씨 외 7명이 모여 상주교회를 설립하였다. 이때 대지 100평에 건평 150평의 교회를 건축하였는데 1955년 1월에 초대 서리집사로 김덕순, 김순열, 최수희씨를 임명하였고 1956년 1월, 남자 서리집사로 김용해, 황인두씨를 임명하였다. 1957년 이홍재 목사가 시무를 사임하면서 이현구 전도사가 시무하였고 1962년 5월 성전 증개축을 착공하여(성전 25평 사택 8평) 같은 해 7월 10일 성전증개축 완공 감사예배를 드렸다. 1964년 12월 3일 교회 헌당식과 김재창 목사의 위임 및 초대 김용해 장로 장립식을 거행하였다.82)  

  

라. 기타 교단의 교회설립

  1) 성결교회의 설립

우리나라에 성결교가 정식 창설된 것은1907년 5월 30일이다. 영남지방에 최초의 성결교 전도관이 설립된 곳은 1914년 8월에 세워진 김천 전도관이다. 김천 전도관의 설립으로 성결교단이 이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룩하게 된다. 그러나 상주지역은 의외로 그 발전이 저조하였다.83)

  

   가) 상주성결교회

 상주성결교회는 1929년 박동의를 설립자로 본부에서 지원하여 설립 하였다.

그러나 다른 기록에는 1920년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84)

 한편 상주성결교회의 설립에 관한 내용은 다음의 기록이 상세하게 전한다.

 “상주는 경상북도의 대읍이요, 또한 교회 배치상 교회 설립의 필요를 인정하고 1926년 박문희를 파송하였으나 부임치 아니함으로 중지된 후 금일까지 이르다가 1929년 3월에 박동의를 파송하여 개척에 착수하였는데 순조로이 진행 중이더라.”85)

 상주성결교회는 상주지역 성결교회 발전에 모체적인 역할을 하였다. 1949년 청년회가 주동이 되어 백원성결교회를 개척하고 교회당 20평을 공사비 10만원을 들여 건축한 일이다.

  

   나) 함창성결교회

1931년 함창성결교회가 세워지다. 함창성결교회는 1955년 제3회 경북지방회의록에 따르면 “24년간이나 천주교의 각군의 영세회장으로 시무하던 조웅돈씨가 함창교회에 입교하여 친척과 이웃사람에게 전도하여 크게 기여했다.”라는 기록이 있다.86)

  

   다) 백원성결교회(현 관동교회)

1947년 정문조, 박기순, 권경순, 김남순 등이 설립하고 상주성결교회 청년회가 교회건축을 지원하였다. 1953년 7월 박사선 초대 전도사가 부임을 하고 1955년 5월 사택 5칸을 건축하였다. 1969년에 현 위치에 교회당 신축하고 1976년 12월 김목희, 장윤용 씨 두 분을 장로 장립하였다.87)

 한편 다른 기록에는 1949년 상주성결교회 청년회 주관으로 외서면 백원 역전에 백원성결교회를 개척하고 교회당 20평을 공사비 10만원을 들여 건축한 일이다.88)와 1947년 사벌면에 사는 정문조, 박기순, 외서면의 권경순, 김남순 등이 당시 상주읍에 위치한 상주성결교회에 출석하다가 교회 개척의 필요성을 느껴 정문조 집에서 교회를 시작하였다. 이때는 기도소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다가 1949년 안창기 목사와 박사선 전도사를 중심으로 사벌면 원흥리(새두릉)에서 본격적인 교회 개척을 시도하였다.  이때 언급한 것처럼 상주성결교회 청년회에서 돕고 상주성결교회 김영훈 장로의 헌금으로 원흥리에 교회당을 신축하였으나 완성된 교회는 아니었다. 계속 교역자 부재 속에 상주성결교회에서는 안창기 목사, 김효순 전도사, 남덕규 목사, 최중석 전도사, 정규선 목사 등이 부임하면서 백원성결교회를 순회 인도하였다. 1951년 서울신학교에 재학 중이던 김상하 전도사가 약 2개월 동안 인도하였고, 1952년 봄부터 1953년 여름까지는 상주성결교회 홍병익 집사가 예배를 인도하였으며, 서울신학교 재학 중이던 여학생 이성애 전도사가 방학을 이용하여 예배를 인도하면서 어렵게 교회의 명맥을 이어갔다. 1953년 7월에 함창성결교회에서 교역하던 박사선 전도부인이 박규순, 박정무 등과 더불어 예배를 드리기 시작하면서 여러 교회의 보조로 현 위치인 외서면 관동리 135번지 땅을 매입하여 건축하고 1953년 8월 20일에 이전하였다.89)고 기록하고 있다.

  

   라) 내서성결교회

1949년 내서성결교회가 상주성결교회의 개척으로 설립되다.90)

 

2) 침례교회의 설립

 경북에서는 예천과 포항이 침례교회의 오랜 텃밭이었다. 제3회 대화회가 1908년 충남 칠산교회에서 회집되었을 때 이미 예천 구역이 설정되었다. 그럼으로 경북 서북부 지역의 침례교 발전은 예천을 중심으로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13년 공주 신리교회에서 제8회 대화회가 회집되었을 때 이종덕 목사가 예천 구역에서 총찰(總察)로 함께 협력하였다는 것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가) 용담침례교회

1911년 2월에 상주군 사벌면 용담2리에 용담침례교회가 4명의 신자로 설립되었다.

1941년 초가 삼 칸을 구입하여 예배당으로 활용하였는데 25년 동안 순회목사가 시무하였다. 이 지역은 상주 읍내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으나 지리적으로 예천 용궁과 풍양에 가까워 아마 예천 지방 침례교회의 영향을 받은 곳으로 보인다.91)

 

   나) 두곡침례교회

1951년 상주군 은척면 두곡리에 교회가 설립되다. 1952년에 두곡리 박전구 씨 집에서 3년간 예배를 드리다가 김주원 장로의 도움으로 초가 예배당을 건축하고 이어서 20평 규모의 목조예배당을 건축하였다.92)

  

   다) 상주침례교회

1952년 1월 20일에 상주군 상주읍 인봉동 21번지에 상주침례교회가 설립되었다. 설립자는 안상만 씨였고 1954년 인봉동에 대지 600평을 구입하고 1954년 10월 1일에 21평의 예배당을 기공하여 12월 20일 헌당하였다. 한편 1957년 1월에 낙동 침례교회를 개척하였다.93)

 

   라) 청리침례교회

1954년 7월 27일 청리침례교회가 상주군 청리면 율리 1구 48-1번지에 박일래 집사가 개척하여 설립되었다. 이어 이 교회는 1969년 청리면 학하리의 학하침례교회를 개척하였다. 94)

  

   마) 낙동침례교회

1957년 1월에 상주침례교회가 낙동 침례교회를 개척하였다.

  

   바) 묵상침례교회

1959년 상주군 사벌면 묵상리 765번지에 묵상침례교회가 개척되었다. 당시 서석봉, 안영우 외 3인의 청년이 중심이 되어 선교부가 제공한 24인용 천막을 치고 사벌 용담침례교회의 신정호 전도사가 개척한 교회다.95)

  

   사) 기타 침례교회의 설립

1970년 상주시 청리면 학하리 313번지에 황수석 가정에서 이봉순 집사와 11명이 모여 개척한 학하침례교회, 1972년 상주시 사벌면 덕담1리 168번지 덕담침례교회는 용담침례교회가 개척한 교회다. 1975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709-10번지에 자매침례교회가 서북교회의 개척으로 설립되었다.96)

  

  3) 감리교회의 설립

감리교회는 영남지방에서 다른 개신교단에 비해 그 교세가 매우 약하다. 감리교회가 경북지역에 들어오게 된 것은 1919년 김천시 성내동 177번지에 기존에 있던 사찰을 매입하여 교회가 시작되었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교회가 폐쇄되었다는 자체의 기록이 있으나 구체적인 증거는 미약한 실정이다. 이어 1950년 6월 20일 ‘기독교 대한 김천감리회’라는 임시간판을 달아놓고 전쟁을 맞았다. 그 후 용문산의 나운몽 장로가 실질적으로 교회를 인수 하고 본격적인 교회의 모습을 되찾았다. 대구에 감리교가 들어 온 것은 1948년 1월 당시 구세군 사관이던 윤삼효가 구세군을 떠나 감리교회로 갔고 이어 대구 시내 중구 향촌동 51번지에 2층 목조 건물을 사용하여 대구 감리교회의 첫 모임을 가졌다.97)

  

   가) 함창감리교회

1951년 4월 18일 상주군 함창읍 구향리 함창감리교회가 설립되었다. 이 교회는 주로 한국전쟁 중 북한과 강원도 지역의 감리교인 들이 피난 와서 개척한 교회이다. 전쟁 중에 많은 교인이 들어오면서 수백 명에 이르기도 했으나 도중에 교회가 폐쇄되기도 했다. 원래 함창감리교회는 구향리에 위치하다가 전쟁이 끝난 뒤 오사리로 옮겼다가 1972년 현재의 오동1리로 옮겨 왔다.98)



4) 구세군 교회의 설립

영남지역에 구세군의 선교는 1909년 8월 2일 조선 본령으로부터 발령을 받고 부임한 헤롤드 까우(Herold Gow)가 대구에 오면서 시작되었다. 이어 경북 서북부 지방의 구세군 개척은 1917년 설립된 구세군 김천영문이었으나 폐쇄되고 1939년 6월 14일 이승용 사관이 당시 김천읍 대화정에 재 개척했으나 김기남 사관 때 다시 폐쇄되었다. 99)

 다시 1856년 이성옥 사관 때 남산동 61-6에서 가정예배로 시작하였다가 이듬 해 3월 평화동 282-2번지에 교회를 신축하였다. 그러나 구세군 본영에서는 1956년을 김천 구세군 김천영의 개전 원년으로 삼고 있다.

   

  가) 구세군 신흥영문

1923년으로 보고 있으나 정확하지는 않다. 상주군 모동면에 위치한 지역인데 이  곳은 영동과 김천에 가까운 지역이어서 김천 영문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일제 때 일본인의 광산 사무소로 이용되어 폐쇄 되었다가 광복 후 다시 시작하였다.

1973년 9월 23일 부임한 박내훈 특무가 시무할 때 현재의 건물을 신축하였고, 1996년 2월 27일 부임한 정부정 사관이 목회를 하고 있다.100)

   

  나) 구세군 상주영문

1989년 9월 25일에 와서야 상주시에 구세군 상주영문이 개척되었다. 본 영문은 1989년 초대 윤관영 사관에 의해 본영의 개척자금과 각 교회들의 보조로 대구은행 2층에서 시작되었다. 2대 김필용 사관이 1년 정도 시무하였고 교회가 개척 된지 3년 만에 대지를 구입하였고 1992년 조립식 147평의 시설을 상주시 신봉동 227-1번지에 갖추었다. 1995년에 부임한 박하용 사관의 목회로 자립영문으로 발전하고 있다.101)

  

5) 성공회 교회의 설립

영남지방의 성공회 전래는 1903년 부산에 거주하는 일본인 신자들을 위하여 일본 신부에 의해 가정예배로 부산 교회가 시작되었다. 대구 역시 1917년 대구에 살고 있는 일본인 신자들을 위하여 일본 신부가 교회를 시작하게 되었다. 한편 1934년 8월 14일 선산군 해평면에 부산교회에서 ‘성 애니스성당’을 세우고 축성식을 올린 후 본격적인 전도를 시작했다.

 

  가) 성공회 상주교회

경북 서북부 지방 유일한 성공회 교회는 성공회 상주교회이다. 1934년 11월 1500평의 넓은 교회 토지를 마련하고 전도를 시작한 성공회 교회는 1935년 8월에 16칸 반의 성당을 신축하고 10월 2일 구세실 주교에 의하여 축성되었다.102)


6) 제칠일안식일예수제림교회의 설립

  

 가) 제칠일안식일 예수재림교 상주교회

1928년 봄 상주읍 성하동 227번지에 박겸서 전도사를 비롯하여 황사홍, 이춘식, 박반석, 김씨 노인, 황점분, 최현숙 형제, 이국희(우필원목사부인-부두열 목사 사경회 때 개종) 강옥자, 김정환씨 등이 셋방을 얻어 집회를 시작하게 된 것이 교회의 시작이었다. 1932년 4월 부인회 사업으로 야간학교를 시작하여 40여명의 학생을 가르쳤다. 교사로 이국희, 최현숙, 장관신(박겸서 부인)씨가 수고하였다. 이후 교회를 설립 했던 박겸서 전도사는 제주도로 이주하였고 양총일 목사가 대구에서 왕래하면서 교회를 돌보는 한편 김인력 씨가 전도부인으로 봉사하였는데 그 후 교회는 혼란하여 1934년 잠시 동안 중단되었다.

1935 합회총회에서 배영길 씨가 상주 주재 권서원(勸書員)으로 임명되어 황사홍 예배 소장 집에서 예배를 드리다가 예배처소를 다시 얻어 활동함으로 출석하는 신자가 다시 많아지게 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와 1950년 6.25 사변이 있기까지 교회는 김 헌 장로 집에서 집회를 계속 하였는데 1.4후퇴 당시 박찬문 목사(남선대회 문서전도 주임)가 상주로 피난 옴으로 김 헌 장로와 함께 교회를 돌보게 되었다. 그 후 우필원 목사도 피난을 오게 되고 이후 김관호 전도사가 서성동 제사공장에서 전도회를 개최하여 직원 및 주민 300여명에게 복음을 전하였고 20여명이 안식일을 지키게 됨으로 교회는 터를 다시 다지게 되고 그 후 김관호 전도사가 18만환을, 김헌 장로가 3만환을 헌금하여 인봉동 62번지의 적산가옥(예배장소만 15평) 및 대지를 구입하여 교회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 후 박찬문 목사는 대회로 돌아가고 당시 능암교회를 돌보던 박원우 장로가 상주로 왕래하면서 집회를 도왔다.

1954년. 초대 목회자로 최성훈 목사가 부임하였고 이어 박준호 선생도 함께 교회를 돌보았다.103)

 상주지역의 제7일 안식일 재림교회는 이외에도 지역별로 함창, 청리, 옥산, 용화, 용포, 능암 등 6개 교회가 설립되었다.

   


8. 2010년도 현 상주시 교회 현황

(상주시기독교연합회 자료 제공 - 가나다 순)

교회명, 교단,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거동교회 합동 742-200 상주시 거동동 1구 98 534-3248

공검교회 통합 742-822 공검면 양정리 541-1152

공검서부교회 통합 742-821 공검면 병암리 482-9 541-1914

관동교회 기성 742-922 외서면 관동리 100 532-8504

구서교회 합동 742-971 외남면 구서2리 358-1 532-9219

금당교회 합동 742-941 중동면 금당1리 410 535-0315

금동교회 통합 742-832 청리면 월로리 424-2 533-1153

금산교회 통합 742-861 화서면 금산1리 318-2 533-0853

낙동교회 합동 742-951 낙동면 낙동리 789-1 532-2340

낙동동부교회 합보 742-951 낙동면 낙동리 742 532-7504

낙동신상교회 통합 742-952 낙동면 신상1리 805 532-5286

낙동중앙교회 합동 742-954 낙동면 상촌리 868 532-1910

낙서교회 합동 742-852 내서면 낙서리 163 533-4614

내서교회 기성 742-851 내서면 신촌리 83-3 534-8601

능력교회 기성 742-170 상주시 가장동 418-30 534-8959

능암교회 고신 742-853 내서면 능암1리 52 534-5033

덕가교회 합동 742-962 사벌면 덕가리 349 533-8015

덕담교회 기침 742-963 사벌면 덕담리 168 532-8328

도남교회 합동 742-350 상주시 도남동 484-1 532-7078

도남삼일교회 고신 742-350 상주시 도남동 568-1 536-8922

동부교회 기성 742-300 상주시 서곡동 129 532-3006

동산교회 합동 742-020 상주시 성동동 632-5 535-7607

두곡교회 기침 742-932 은척면 두곡리 69 541-8848

두릉교회 고신 742-962 사벌면 두릉리 313-1 534-3456

득수교회 기성 742-893 모서면 득수2리 184-6 534-6751

마공교회 합동 742-831 청리면 마공리 771 533-6653

매협교회 합동 742-963 사벌면 매협1리 1334 534-5258

매호교회 고신 742-963 사벌면 매호2리 511 533-8070

모동교회 고신 742-852 모동면 용호리 17 532-1288

모동제일교회 합동 742-912 모동면 덕곡리 483 533-3730

모서교회 합동 742-891 모서면 삼포리 226 533-2526

모서제일교회 통합 742-891 모서면 지산리 166-6 533-3894

무릉교회 통합 742-932 은척면 무릉리 243 541-5976

묵상교회 기침 742-963 사벌면 묵상리 765 533-8009

물량교회 합동 742-951 낙동면 물량리 887 532-7828

바로그교회 ( ) 742-813 이안면 안룡리 180

백화교회 기침 742-893 모서면 정산1리 219-2 533-2837

병성교회 통합 742-340 상주시 병성동 453 532-0839

복음교회 예개혁 742-070 냉림동 149-10 531-3203

봉강교회 기감 742-921 외서면 봉강2리 1031 532-7088

봉천교회 기성 742-851 내서면 고곡리 188 634-4074

봉촌교회 통합 742-861 화서면 봉촌리 316 534-2772

부곡교회 기성 742-820 공검면 구곡2리 307 541-1202

부원교회 합동 742-280 부원동 273 535-3102

북부교회 합동 742-240 중덕동 148 534-6092

사랑받는교회 기침 742-130 신봉동 584-17 536-7013

사벌교회 고신 742-963 사벌면 덕담3리 392-1 532-8265

사산교회 합동 742-861 화서면 사산리 284 536-5002

삼백교회 합동 742-902 낙양동 146-32

상산교회 기성 742-220 화산1동 835 535-5690

상주감리교회 기감 742-090 무양동 201-2 535-8059

상주교회 통합 742-090 상주시 무양동 1-161 535-1123-6

상주나사렛교회 나성 742-110 연원동 774-7 532-2419

상주남부교회 742-160 상주시 지천동 510 533-7244

상주서문교회 742-050 상주시 서성동 114 531-0031-4

상주성결교회 742-902 낙양동 218-4 531-0107

상주시민교회 통합 742-050 서성동 10 536-2260-5

상주양문교회 합동 742-130 신봉동 495-1 535-8969

상주제일교회 합동 742-050 서성동 163-55 533-3411

상주중앙교회 합동 742-010 남성동 37-1 535-9021

상주침례교회 기침 742-060 인봉동 21-37 534-3384

새벽교회 고신 742-843 공성면 용신리 584 531-2990

새상주교회 고신 742-040 상주시 복룡동 283-38 535-8947

상주희망교회 통합 742-300 서곡동 127 532-3569

석산교회 합동 742-891 모서면 석산리 535 533-2223

석수교회 합동 742-843 공성면 인창2리 482 532-4291

선교교회 합동 742-882 화동면 선교리 422 533-9422

성복교회 통합 742-952 낙동면 성동리 35 532-4172

성산교회 합신 742-130 신봉동 605 535-8038

성신교회 통합 742-952 낙동면 성동리 79-5 534-5196

세천교회 합정 742-360 남적동 18 531-3391

소망교회 예성 742-210 계산동 358 534-0764

소망교회 기장 742-953 낙동면 비룡리 381 532-5883

소망교회 기침 742-801 함창읍 윤직1리 709-10 541-9458

소상교회 통합 742-971 외남면 소상리 66 532-9429

소은교회 합동 742-972 외남면 소은리 294-4 532-9301

송계골교회 예성 742-862 화서면 상곡2리 226 534-5750

순복음교회 기하성 742-150 양촌1동 122 531-1429

신곡교회 김기감 742-842 공성면 신곡1리 376 535-8938

신봉교회 통합 742-130 신봉동 262 534-2911

신상교회 합동 742-971 외남면 소상리 198-1 532-9217

신상소망교회 합동 742-970 낙동면 신상2리 605 532-9179

신암교회 합동 742-941 중동면 신암리 410-2 535-9833

신천교회 기장 742-911 모동면 신천1리 156 533-3745

신촌교회 기장 742-971 외남면 신촌1리 417 532-9239

안륭교회 기성 742-813 이안면 안룡리 180 641-5370

양범교회 통합 742-813 이안면 양범리 156 541-5314

양촌교회 통합 742-150 양촌2동 674-1 534-5435

양평교회 기성 742-881 화동면 양지리 319-1 535-2597

엄암교회 통합 742-961 사벌면 엄암리 778 533-6117

영광교회 합동 742-260 만산동 37-5 536-0892

영광교회 기성 742-803 함창읍 척동1리 192-1 541-2425

영락교회 통합 742-140 개운동 725-5 532-1421

예담교회 (   ) 742-080 서문동 151-7 2층

예일교회 합동정통 742-320 외답동 2577-1 531-9981

오광교회 통합 742-841 공성면 오광2리 174 532-4508

오광제일교회 개혁 742-841 공성면 오광1리 610 532-4637

오상교회 합동 742-942 중동면 오상리 366-1 532-9575

오태교회 통합 742-821 공검면 오태리 801 541-1914

오흥교회 나성 742-190 오대동 227 534-7987

옥산교회 합동 742-844 공성면 옥산리 303 532-4125

옥산서문교회 예장개혁 742-844 공성면 옥산리 290-4 532-4510

옥산중앙교회 통합 742-844 공성면 옥산리 173-4 532-4147

외남교회 합동 742-972 외남면 흔평리 120-2 532-9052

외답교회 합동 742-320 외답동 785 532-2977

외서교회 대신 742-921 외서면 가곡리 58 533-1856

용담교회 기장 742-953 낙동면 용포리 590 535-1367

용담교회 기침 742-962 사벌면 용담리 531 532-8424

우산교회 (  ) 742-922 외서면 우산 1리 111

우하교회 기감 742-842 공성면 우하리 305 536-1306

원흥교회 고신 742-962 사벌면 원흥1리 280-1 534-5067

율리교회 통합 742-832 청리면 율리2구 557 532-9257

은척교회 기성 742-933 은척면 봉중리 311 541-3652

은척중앙교회 합동 742-931 은척면 우리1리 784 541-4243

이안교회 통합 742-811 이안면 가장리 213 541-6529

이안제일교회 합동 742-811 이안면 소암리 54 541-1262

이천교회 신대신 742-921 외서면 이천리 80 534-4156

이촌교회 예장개혁 742-921 외서면 이천리 535-5338

이화교회 합보 742-841 공성면 이화리 702 533-2896

인창교회 합동 742-843 공성면 인창리 176 532-3975

장동교회 합동 742-843 공성면 장동리 564 532-8042

죽암교회 고신 742-942 중동면 죽암리 564 532-9995

죽암제일교회 고신 742-942 중동면 죽암1리 95 533-8401

중눌교회 기성 742-982 화남면 중눌2리 776 536-3866

중부교회 고신 742-100 낙양동 174-8 535-0515

중소교회 기침 742-821 공검면 중소리 456 541-0168

중앙로교회 고신 742-040 복룡동 383-2 531-0583

지사교회 통합 742-972 외남면지사2리 201 532-9456

지산교회 기감 742-813 이안면 지산리 394 541-5534

참빛교회 (  ) 742-080 서문동 59-2 535-1774

천호교회 기성 742-220 화산동 1076-13 536-0692

청리교회 통합 742-832 청리면 수상리 343 532-6016

청리제일교회 합동 742-833 청리면 원장리 768-2 532-6247

청리침례교회 기침 742-832 청리면 율리 48-2 532-6233

치유교회 개혁 742-100 낙양동 146-107 536-0179

평안교회 합동 742-843 공성면 평천1리 33 532-4684

평온교회 통합 742-983 화남면 평온리 188-1 533-0891

평온중앙교회 기감 742-983 화남면 평온리 418-6 536-0476

평화교회 기장 742-040 복룡동 283-58 536-2453

포도원교회 기성 742-912 모동면 반계리 30 531-1914

하늘지기교회 통합 742-951 낙동면 구잠리 508-1 534-5509

학하교회 기침 742-832 청리면 학하리 313 532-6710

한우리교회 기하성 742-100 낙양동 535-0466

함께하는교회 기침 742-040 복룡동 349-18 534-2046

함창교회 통합 742-802 함창읍 구향3리 130 541-3278

함창교회 기성 742-802 함창읍 구향1리 218 541-3273

함창교회 이기감 742-804 함창읍 오동1리 584 541-3279

함창제일교회 임마예 742-802 함창읍 구향리 155 541-3171

함창중앙교회 합동 742-802 함창읍 구향1리 200-4 541-9191

화개교회 합동 742-310 화개동 192 532-3152

화달교회 고신 742-961 사벌면 화달1리 278 533-6919

화동교회 고신 742-882 화동면 이소1리 493-1 533-9044

화령교회 통합 742-863 화서면 지산리 107 533-0203

화령제일교회 고신 742-863 화서면 상현1리 90-12 533-0912

화북교회 기성 742-871 화북면 용유리 419 533-8918

화산교회 합동 742-952 낙동면 화산리 1054 532-5830

화현교회 (  ) 742-891 모서면 화현리 126

회상교회 고신 742-942 중동면 회상1리 518-1 532-9837

효곡교회 기감 742-842 공성면 효곡2리 243 535-8248


구세군

상주영문 구세군 742-130 상주시 신봉동 227-1 532-2151

신흥영문 구세군 742-910 모동면 정안리 533-4406


성공회

상주교회 성공회 742-080 상주시 서문동 35 535-3875-1104


기도원 및 수양관 요양시설

대학촌기도원 독립 742-942 지천동 750-6 532-3302

상주은광마을 742-954 낙동면 상촌리 318-1 533-7241

임마누엘기도원 통합 742-330 헌신동 120 533-7056

임마누엘수양관 중부교회 742-850 내서면 평지리 4-1 532-6695

참샘수련원 742-942 중동면 회상리 533-3513

천봉산요양원 742-280 만산동 96 534-4654

충성군인교회 741-140 상주우체국 사서함 7호 534-1113

하늘지기 통합 742-951 낙동면 구잠리 508-1 534-5509

호산나수양관 742-850 내서면 신촌리 산 10-1 531-0036104)


8. 2008년도 현 상주시 교회 현황

(상주시기독교연합회 자료 제공 - 가나다 순)

거동교회 김영업 합동 742-200 상주시 거동동 1구 98 534-3248

공검교회 강대식 통합 742-822 공검면 양정리 541-1152

공검서부교회 정주옥 통합 742-821 공검면 병암리 482-9 541-1914

관동교회 남동균 기성 742-922 외서면 관동리 100 532-8504

구서교회 이상진 합동 742-971 외남면 구서2리 358-1 532-9219

금당교회 김명철 합동 742-941 중동면 금당1리 410 535-0315

금동교회 노인종 통합 742-832 청리면 월로리 424-2 533-1153

금산교회 김  성 통합 742-861 화서면 금산1리 318-2 533-0853

낙동교회 이재호 합동 742-951 낙동면 낙동리 789-1 532-2340

낙동동부교회 정재석 합보 742-951 낙동면 낙동리 742 532-7504

낙동신상교회 김관영 통합 742-952 낙동면 신상1리 805 532-5286

낙동중앙교회 한병태 합동 742-954 낙동면 상촌리 868 532-1910

낙서교회 안영환 합동 742-852 내서면 낙서리 163 533-4614

내서교회 최병철 기성 742-851 내서면 신촌리 83-3 534-8601

능력교회 김현진 기성 742-170 상주시 가장동 418-30 534-8959

능암교회 김재열 고신 742-853 내서면 능암1리 52 534-5033

덕가교회 한종식 합동 742-962 사벌면 덕가리 349 533-8015

덕담교회 고시성 기침 742-963 사벌면 덕담리 168 532-8328

도남교회 이성복 합동 742-350 상주시 도남동 484-1 532-7078

도남삼일교회 김영수 고신 742-350 상주시 도남동 568-1 536-8922

동부교회 이흥수 기성 742-300 상주시 서곡동 129 532-3006

동산교회 최영민 합동 742-020 상주시 성동동 632-5 535-7607

두곡교회 황진수 기침 742-932 은척면 두곡리 69 541-8848

두릉교회 조명옥 고신 742-962 사벌면 두릉리 313-1 534-3456

득수교회 유면숙 기성 742-893 모서면 득수2리 184-6 534-6751

마공교회 노회운 합동 742-831 청리면 마공리 771 533-6653

매협교회 임종경 합동 742-963 사벌면 매협1리 1334 534-5258

매호교회 최득환 고신 742-963 사벌면 매호2리 511 533-8070

모동교회 황선일 고신 742-852 모동면 용호리 17 532-1288

모동제일교회 양재관 합동 742-912 모동면 덕곡리 483 533-3730

모서교회 박상달 합동 742-891 모서면 삼포리 226 533-2526

모서제일교회 한성기 통합 742-891 모서면 지산리 166-6 533-3894

무릉교회 장동진 통합 742-932 은척면 무릉리 243 541-5976

묵상교회 이완준 기침 742-963 사벌면 묵상리 765 533-8009

물량교회 이서종 합동 742-951 낙동면 물량리 887 532-7828

백화교회 이남묵 기침 742-893 모서면 정산1리 219-2 533-2837

병성교회 오명석 통합 742-340 상주시 병성동 453 532-0839

복음교회 예도해 개혁 742-070 냉림동 149-10 531-3203

봉강교회 한태희 기감 742-921 외서면 봉강2리 1031 532-7088

봉천교회 김일승 기성 742-851 내서면 고곡리 188 634-4074

봉촌교회 임종근 통합 742-861 화서면 봉촌리 316 534-2772

부곡교회 류혜경 기성 742-820 공검면 구곡2리 307 541-1202

부원교회 박훈대 합동 742-280 부원동 273 535-3102

북부교회 김진수 합동 742-240 중덕동 148 534-6092

사랑받는교회 김대근 기침 742-130 신봉동 584-17 536-7013

사벌교회 박영천 고신 742-963 사벌면 덕담3리 392-1 532-8265

사산교회 이정철 합동 742-861 화서면 사산리 284 536-5002

삼백교회 오창관 합동 742-902 낙양동 146-32

상산교회 배수호 기성 742-220 화산1동 835 535-5690

상주감리교회 김영윤 기감 742-090 무양동 201-2 535-8059

상주교회 곽희주 통합 742-090 상주시 무양동 1-161 535-1123-6

상주나사렛교회 주용은 나성 742-110 연원동 774-7 532-2419

상주남부교회 민길성 합동 742-160 상주시 지천동 510 533-7244

상주서문교회 이남수 합동 742-050 상주시 서성동 114 531-0031-4

상주성결교회 조양남 기성 742-902 낙양동 218-4 531-0107

상주시민교회 최원주 통합 742-050 서성동 10 536-2260-5

상주양문교회 장종근 합동 742-130 신봉동 495-1 535-8969

상주제일교회 강명원 합동 742-050 서성동 163-55 533-3411

상주중앙교회 류창열 합동 742-010 남성동 37-1 535-9021

상주침례교회 신광석 기침 742-060 인봉동 21-37 534-3384

새벽교회 김영구 고신 742-843 공성면 용신리 584 531-2990

새상주교회 신성옥 고신 742-040 상주시 복룡동 283-38 535-8947

서곡교회 김호철 통합 742-300 서곡동 127 532-3569

석산교회 김득두 합동 742-891 모서면 석산리 535 532-2223

석수교회 김종화 합동 742-843 공성면 인창2리 482 532-4291

선교교회 오세영 합동 742-882 화동면 선교리 422 533-9422

성복교회 한재덕 통합 742-952 낙동면 성동리 35 532-4172

성산교회 배만근 합신 742-130 신봉동 605 535-8038

성신교회 백동수 통합 742-952 낙동면 성동리 79-5 534-5196

세천교회 김종욱 합정 742-360 남적동 18 531-3391

소망교회 강세현 예성 742-210 계산동 358 534-0764

소망교회 박순자 기장 742-953 낙동면 비룡리 381 532-5883

소망교회 이덕남 기침 742-801 함창읍 윤직1리 709-10 541-9458

소상교회 조원희 통합 742-971 외남면 소상리 66 532-9429

소은교회        합동 742-972 외남면 소은리 294-4 532-9301

송계골교회 손호진 예성 742-862 화서면 상곡2리 226 534-5750

순복음교회 이영수 기하성 742-150 양촌1동 122 531-1429

신곡교회 김진해 기감 742-842 공성면 신곡1리 376 535-8938

신봉교회 박충호 통합 742-130 신봉동 262 534-2911

신상교회 박원봉 합동 742-971 외남면 소상리 198-1 532-9217

신상소망교회 조찬율 합동 742-970 낙동면 신상2리 605 532-9179

신암교회 최재호 합동 742-941 중동면 신암리 410-2 535-9833

신천교회 박상현 기장 742-911 모동면 신천1리 156 533-3745

신촌교회 전기정 기장 742-971 외남면 신촌1리 417 532-9239

안륭교회 윤종식 기성 742-813 이안면 안룡리 180 641-5370

양범교회 송원숙 통합 742-813 이안면 양범리 156 541-5314

양촌교회 김진영 통합 742-150 양촌2동 674-1 534-5435

양평교회 윤현선 기성 742-881 화동면 양지리 319-1 535-2597

엄암교회 이영생 통합 742-961 사벌면 엄암리 778 533-6117

영광교회 박욱환 합동 742-260 만산동 37-5 536-0892

영광교회 최종국 기성 742-803 함창읍 척동1리 192-1 541-2425

영락교회 김유신 통합 742-140 개운동 725-5 532-1421

예일교회 이태조 합동정통 742-320 외답동 2577-1 531-9981

오광교회 박세동 통합 742-841 공성면 오광2리 174 532-4508

오광제일교회 홍광정 개혁 742-841 공성면 오광1리 610 532-4637

오상교회 손재화 합동 742-942 중동면 오상리 366-1 532-9575

오태교회 좌장건 통합 742-821 공검면 오태리 801 541-1914

오흥교회 한진택 나성 742-190 오대동 227 534-7987

옥산교회 이명우 합동 742-844 공성면 옥산리 303 532-4125

옥산서문교회 이은규 예장개혁 742-844 공성면 옥산리 290-4 532-4510

옥산중앙교회 정인식 통합 742-844 공성면 옥산리 173-4 532-4147

외남교회 조재근 합동 742-972 외남면 흔평리 120-2 532-9052

외답교회 손은목 합동 742-320 외답동 785 532-2977

외서교회 김성규 대신 742-921 외서면 가곡리 58 533-1856

용담교회 정충균 기장 742-953 낙동면 용포리 590 535-1367

용담교회 최락규 기침 742-962 사벌면 용담리 531 532-8424

우하교회 김덕억 기감 742-842 공성면 우하리 305 536-1306

원흥교회 안종수 고신 742-962 사벌면 원흥1리 280-1 534-5067

율리교회 허지태 통합 742-832 청리면 율리2구 557 532-9257

은척교회 강덕희 기성 742-933 은척면 봉중리 311 541-3652

은척중앙교회 김성중 합동 742-931 은척면 우리1리 784 541-4243

이안교회 김종순 통합 742-811 이안면 가장리 213 541-6529

이안제일교회 장용득 합동 742-811 이안면 소암리 54 541-1262

이천교회 신동헌 대신 742-921 외서면 이천리 80 534-4156

이촌교회        예장개혁 742-921 외서면 이천리 535-5338

이하교회 천향수 합보 742-841 공성면 이화리 702 533-2896

인창교회 김재석 합동 742-843 공성면 인창리 176 532-3975

장동교회 김상교 합동 742-843 공성면 장동리 564 532-8042

죽암교회 윤춘남 고신 742-942 중동면 죽암리 564 532-9995

죽암제일교회 윤수조 고신 742-942 중동면 죽암1리 95 533-8401

중눌교회 김동기 기성 742-982 화남면 중눌2리 776 536-3866

중부교회 유흥식 고신 742-100 낙양동 174-8 535-0515

중소교회 이종훈 기침 742-821 공검면 중소리 456 541-0168

중앙로교회 지경식 고신 742-040 복룡동 383-2 531-0583

지사교회 오태복 통합 742-972 외남면지사2리 201 532-9456

지산교회 김점용 기감 742-813 이안면 지산리 394 541-5534

천호교회 김기홍 기성 742-220 화산동 1076-13 536-0692

청리교회 김재원 통합 742-832 청리면 수상리 343 532-6016

청리제일교회 박경문 합동 742-833 청리면 원장리 768-2 532-6247

청리침례교회 임용군 기침 742-832 청리면 율리 48-2 532-6233

치유교회 강우석 개혁 742-100 낙양동 146-107 536-0179

평안교회 김응수 합동 742-843 공성면 평천1리 33 532-4684

평온교회 장정설 통합 742-983 화남면 평온리 188-1 533-0891

평온중앙교회 이창익 기감 742-983 화남면 평온리 418-6 536-0476

평화교회 진장현 기장 742-040 복룡동 283-58 536-2453

포도원교회 이성묵 기성 742-912 모동면 반계리 30 531-1914

하늘지기교회 문오곤 통합 742-951 낙동면 구잠리 508-1 534-5509

학하교회 김교진 기침 742-832 청리면 학하리 313 532-6710

한우리교회 정세영 기하성 742-100 낙양동 535-0466

함께하는교회 이재철 기침 742-040 복룡동 349-18 534-2046

함창교회 문병식 통합 742-802 함창읍 구향3리 130 541-3278

함창교회 박상호 기성 742-802 함창읍 구향1리 218 541-3273

함창교회 이용환 기감 742-804 함창읍 오동1리 584 541-3279

함창제일교회 김재영 임마예 742-802 함창읍 구향리 155 541-3171

함창중앙교회 석명기 합동 742-802 함창읍 구향1리 200-4 541-9191

화개교회 서홍도 합동 742-310 화개동 192 532-3152

화달교회 조달용 고신 742-961 사벌면 화달1리 278 533-6919

화동교회 조승래 고신 742-882 화동면 이소1리 493-1 533-9044

화령교회 우용하 통합 742-863 화서면 지산리 107 533-0203

화령제일교회 심오섭 고신 742-863 화서면 상현1리 90-12 533-0912

화북교회 신현수 기성 742-871 화북면 용유리 419 533-8918

화산교회 황만석 합동 742-952 낙동면 화산리 1054 532-5830

회상교회 최봉선 고신 742-942 중동면 회상1리 518-1 532-9837

효곡교회 진태원 기감 742-842 공성면 효곡2리 243 535-8248


구세군

상주영문 강병남 구세군 742-130 상주시 신봉동 227-1 532-2151

신흥영문 김홍섭 구세군 742-910 모동면 정안리 533-4406


성공회

상주교회 안균호 성공회 742-080 상주시 서문동 35 535-3875-1104


기도원 및 수양관 요양시설

대학촌기도원 김진태 독립 742-942 지천동 750-6 532-3302

상주은광마을 김종건 742-954 낙동면 상촌리 318-1 533-7241

임마누엘기도원 문정심 통합 742-330 헌신동 120 533-7056

임마누엘수양관 유흥식 중부교회 742-850 내서면 평지리 4-1 532-6695

참샘수련원 최봉선 742-942 중동면 회상리 533-3513

천봉산요양원 이승부 742-280 만산동 96 534-4654

충성군인교회 박경문 741-140 상주우체국 사서함 7호 534-1113

하늘지기 문오곤 통합 742-951 낙동면 구잠리 508-1 534-5509

호산나수양관 이남수 742-850 내서면 신촌리 산 10-1 531-003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