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口碑)에 오른 추담(秋潭) 고유(高裕)의 선정(善政)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구비(口碑)에 오른 추담(秋潭) 고유(高裕)의 선정(善政) 權 泰 乙 이름을 후세에 남기는 매체로 석비(石碑)·지비(紙碑)·구비(口碑)가 있다..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4
경(敬)과 덕(德)으로 일관한 역천(櫟泉) 송명흠(宋明欽)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경(敬)과 덕(德)으로 일관한 역천(櫟泉) 송명흠(宋明欽) 김 정 찬 공(公)의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자는 회가(晦可)이고 호는 역천(櫟泉)으..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4
문과(文科) 회방(回榜)으로 정조(正祖)의 축하시를 받은 직신(直臣) 강항(姜杭)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문과(文科) 회방(回榜)으로 정조(正祖)의 축하시를 받은 직신(直臣) 강항(姜杭) 權 泰 乙 시북(市北) 강항(姜杭·1702~1787)은 문과에 급제하여..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4
우헌(愚軒) 채헌징(蔡獻徵)의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우헌(愚軒) 채헌징(蔡獻徵)의 뜻 깊은 언지(言志) 금 중 현 * 이 글은『愚軒先生文集』을 상고하였고, 상주문화원에서 간행한 1999년도『尙..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4
일생 쇠고기를 입에 대지 않은 선비 – 수암(漱菴) 채지면(蔡之沔)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일생 쇠고기를 입에 대지 않은 선비 – 수암(漱菴) 채지면(蔡之沔) 곽 희 상 “예야, 점심에는 쇠고기가 먹고 싶구나” 라고, 어머니는 간..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4
숭정처사 양헌(讓軒) 곽이정(郭以楨)의 사양정신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숭정처사 양헌(讓軒) 곽이정(郭以楨)의 사양정신 금 중 현 곽이정[1619(광해 11) ~ 1685(숙종 11)]은 임란공신으로 일천 여 언(一千餘言)의 시페(..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3
과거 시험장을 뛰쳐나온 선비 조정항(曺挺恒)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과거 시험장을 뛰쳐나온 선비 조정항(曺挺恒) 김 재 수 많은 선비들이 과거장으로 몰리고 있었다. 그동안 얼마나 오늘을 위해 준비해 왔던..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3
문명과 학행으로 유명한 한극창(韓克昌)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문명과 학행으로 유명한 한극창(韓克昌) 박 찬 선 한극창(韓克昌, 1600∼1650) 본관은 청주. 극술(克述)의 아우로 자는 유백(裕伯), 호는 오주(..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3
향약당(鄕約堂)을 세워 풍속을 아름답게 한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향약당(鄕約堂)을 세워 풍속을 아름답게 한 외서암(畏棲菴) 김추임(金秋任) 김 재 수 “아이쿠머니나! 이를 어찌해.” 몸종이 놀라서 큰 소..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3
진충(盡忠)으로 생을 마친 노도응(盧道凝) * 이 글은 상주문화원이 발간한 상주의 인물 제6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전재합니다. 스크랩을 하시는 분들은 이 내용을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진충(盡忠)으로 생을 마친 노도응(盧道凝) 곽 희 상 “청병(淸兵)이 졸지(猝地) 졸지(猝地)는, 갑작스러운 침범을 말한다. 했음에 국가가 창.. 상주의 인물/상주의 인물 제6권 2019.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