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천(枕泉) 김상철(金相轍)선생 상주 여행기 침천(枕泉) 김상철(金相轍)선생 상주 여행기 조 일 희 목 차 1. 임술년(1922) 1차 상주 여행500 2. 갑자년(1924) 2차 상주 여행505 1. 임술년(1922) 1차 상주 여행 임진년(1922)에 서울 서쪽 서헌정(署軒亭)은 종남산(終南山) 동쪽이오 한강 가인데 공자별묘(孔子別廟)를 짓고 전국 각 군(郡)에 유림(儒..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3.05
치유(治癒)와 구원(救援)의 잠언적 시 치유(治癒)와 구원(救援)의 잠언적 시 이창화 시인의 시세계 박 찬 선 목 차 치유(治癒)와 잠언적(箴言的) 시489 삶의 진실, 시의 진실493 구원(救援)의 시495 치유(治癒)와 구원(救援)의 잠언적 시 이창화 시인의 시세계 박 찬 선 “이창화님은 황해도 재령 출신. 1964년 10월 월남을 하셨다. 온..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3.05
상주박물관장 재직시의 회고(回顧)) 상주박물관장 재직시의 회고(回顧)) 전 상주박물관장 현 동국문화재연구원장 김호종(金昊鍾) 목 차 1. 박물관 건립과정464 2. 관장 공채465 3. 박물관 개관과 등록467 4. 기획전시와 전통문화대학 및 봉사활동469 5. 문화재 지표조사 기관 승인471 6. 유물의 기증 기탁 운동전개473 7. 건물 신축 및 ..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3.05
상주, 자전거점 이야기 상주, 자전거점 이야기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김 재 수 목 차 1. 우리나라 자전거의 역사422 2. 자전거 경기와 엄복동, 박상헌424 3. 우리나라 자전거 산업426 4. 상주의 자전거점 이야기427 가. 상주의 자전거 경기429 나. 상주의 자전거점들을 찾아서430 다. 상주자전거점의 흐름458 라. ..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3.05
상주 불교사원(佛敎寺院)의 어제와 오늘 상주 불교사원(佛敎寺院)의 어제와 오늘 尙州鄕土文化硏究所 硏究委員 尙 州 市 廳 金 相 鎬 목 차 Ⅰ. 머리말358 Ⅱ. 불교의 개관(槪觀)359 Ⅲ. 고려시대 상주 주요 불교사원(佛敎寺院)362 Ⅳ. 기록에 나타나는 상주 불교사원365 Ⅴ. 사원(寺院)의 속암(屬庵)379 Ⅵ. 전통사찰(傳統寺刹)380 Ⅶ. 사..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2.27
병풍산일대 유적의 정비와 활용방안 병풍산일대 유적의 정비와 활용방안 상주박물관장 全 玉 年 목 차 Ⅰ. 머리말338 Ⅱ. 유적의 현황과 성격340 Ⅲ. 유적의 가치344 Ⅳ. 유적의 관리 및 정비대책의 수립346 Ⅴ. 유적의 활용방안351 Ⅵ. 맺음말353 Ⅰ. 머리말 상주는 현 행정구역상 경상북도의 북서단에 위치하여 북에서 동, 남으로..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2.27
고분으로 본 삼국시대 상주지역의 성격 고분으로 본 삼국시대 상주지역의 성격 상주박물관 학예연구사 김 진 형 목 차 Ⅰ. 머리말306 Ⅱ. 삼국시대 상주지역 고분의 분포 현황308 Ⅲ. 삼국시대 상주지역 고분의 특징313 1. 목곽묘313 2. 석곽묘314 3. 석실묘316 Ⅳ. 삼국시대 상주지역 고분의 성격319 Ⅴ. 맺음말328 Ⅰ. 머리말 상주지역에..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2.27
상주 교육에 영향을 끼친 고승(高僧)들 상주 교육에 영향을 끼친 고승(高僧)들 경북대학교 교수 한 기 문 목 차 1. 머리말288 2. 삼국․통일신라 시기289 3. 고려시기293 4. 맺음 말304 1. 머리말 - 고승의 호칭 : 법사(法師), 대사(大師), 화상(和尙) 등 - 금석 자료에는 법회를 주관하는 직임을 두다. →강사, 복강사, 주강, 법사, 의학 ..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2.27
상주의 서원문화 상주의 서원문화 (敎育을 中心으로) 강 경 모 목 차 1. 서원 성립의 사회적 배경266 2. 서원 건립과 유형272 3. 서원의 운영과 교육278 4. 결어284 1. 서원 성립의 사회적 배경 서원은 조선시대 관학을 대신하여 발생한 사학으로 학문발전, 유학진흥, 사회교화 등을 이룩하여 조선의 전시대(全時..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2.27
조선시대 영남 선비의 위상(位相) 조선시대 영남 선비의 위상(位相)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권 태 을 목 차 Ⅰ. 머리말 - 선비의 의미244 1. 선비사(士)자에 함축된 의미244 2. 선현의 선비관245 Ⅱ. 역사상 경상도(慶尙道․嶺南)의 존재 의의247 1. 이름 유래247 2. 경상도(영남)에 대한 평247 Ⅲ. 유학사상 영남의 존재 의의248 1. 유.. 상주문화/상주문화 22호 201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