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학. 새로 지정된 문화재 소개 2015년도에 새로 지정된 우리 지역의 새내기 문화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경상북도 지방 기념물 제52호(1984.12.29)로 지정되어 있던 옥동서원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승격되었다. 이로써 상주시에는 국가지정문화재 23점(보물 17, 사적 2, 천연기념물 2, 국가등록문화재 2)와 경..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상주학.현대규방가사(2)‘회혼가’연구 현대규방가사(2)‘회혼가’연구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상주고등학교 교사 권 택 룡 Ⅰ. 서론 1. 연구의 방향과 방법 가사(歌辭)는 여말선초에 정립된 문학 장르로, 조선초기와 중기에는 양반 사대부들이 유교 이념과 자연 속에서의 풍류를 드러내는 작품을 많이 지었다. 그러던 것..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상주학. 천년 상주, 함창 태봉리는 민족의 성지 천년 상주, 함창 태봉리는 민족의 성지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상산신문 취재본부장 강 효 일 1. 들어 가면서 평생 벼슬을 하지 않았던 남명 조식선생은 조선 제13대 명종 10년(1555) 단성현감 직을 거절하며 죽음을 불사한 “을묘사직소”의 직언은 우리 역사에 매우 중요하다. 백성..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상주 경찰의 연혁과 제도의 정착 상주 경찰의 연혁과 제도의 정착 상주향토문하연구소 연구위원 上州文化硏究會 연구위원 상주시청 문화융성담당 金 相 鎬 Ⅰ. 머리말 우리나라 경찰행정은 고려시대부터 실시한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시대에는 경찰과 군사의 개념을 혼용하였고, 중앙에서는 병무에 이군육위를 두어 군..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화동(化東)의 재건학교(再建學校) -화동재건학교(化東再建學校)와 자양재건학교(紫陽再建學校) 화동(化東)의 재건학교(再建學校) -화동재건학교(化東再建學校)와 자양재건학교(紫陽再建學校)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상주아동문학회장 김 재 수 Ⅰ. 재건학교(청소년새마을학교)의 설립 배경 8·15광복 이후 정규 과정의 학교가 있었지만 가난이라는 어려운 여건으로 인해 많은 ..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한국 재래 잠품종(蠶品種), 상주종(尙州種)의 성상(性狀) 한국 재래 잠품종(蠶品種), 상주종(尙州種)의 성상(性狀)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농학박사 윤 재 수 머리말 누에의 원산지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사육 흔적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중국의 절강성(浙江省) 하모도(夏姆渡)의 신석기시대 유..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제언(堤堰) 수축(修築)을 통한 조선(朝鮮) 태종(太宗)의 수리사업(水利事業) 제언(堤堰) 수축(修築)을 통한 조선(朝鮮) 태종(太宗)의 수리사업(水利事業) 상주문화원장⋅농학박사 김 철 수 1. 머리말 우리 상주는 삼한시대에 벌써 <공검지(恭儉池)>가 축조될 정도로 광활한 농경지가 있었고, 그것을 토대로 농경문화(農耕文化)가 꽃피웠던 곳이다. 그래서 다른 ..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상주(尙州) <무신(戊申) 창의록(倡義錄)> 소고(小考) 상주(尙州) <무신(戊申) 창의록(倡義錄)>소고(小考)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상주문화원 부원장 금 중 현 1. 들어가며 조선시대 국가 변란에 대처하는 상주인들의 의병활동은 임진왜란 때 창의군(倡義軍), 상의군(尙義軍), 충보군(忠報軍) 등 외침(外侵)에 대한 실전(實戰)사실 기..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상주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사진에 보이는 몇 가지 문제 상주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사진에 보이는 몇 가지 문제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상주박물관 학예담당 김 진 형 Ⅰ. 머리말 최근 들어 과거에 읍성이 존재했던 지자체마다 복원사업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안산, 무장(고창), 면천(당진), 광주, 하동, 김해, 밀양, 양산, 언양, 울산, ..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
낙사휘찬(洛史彙纂) 해제 낙사휘찬(洛史彙纂) 해제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경상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상주고등학교 교사 김 정 찬 1. 상산지 상주지역의 역사서 가운데 가장 빨리 편찬된 것은『상산지』이다. 상주의 또 다른 이름이 상산이기 때문에 상산지는 바로 상주의 역사서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연.. 상주문화/상주문화 25호 2016.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