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단체/사회단체

사벌국 역사보존회 견훤산성 탐방

빛마당 2012. 6. 23. 19:41

2012년 6월 23일 토요일 '사벌국 역사보존회 회원 40여명이 견훤산성을 탐방했다.

견훤산성은 1984년 12월 19일 경상북도기념물 제 53호로 지정되었다. 산의 정상부를 다라 축조한 퇴뫼식 산성으로, 견훤이 축성하였다고 전해진다. 국내에서 보기드문 삼국시대의 산성이며, 충북도 보은의 삼년산성과 축성방법이 비슷하다. 넓은 분지에 자리한 우뚝한 봉우리 주위에 석축을 쌓아 성곽을 만들었는데, 전체적으로정사각형이다.

성벽은 안팎을 활석으로 쌓은 내외협축이고, 길이 약 650m, 면적 35,702평방미터이다. 계곡을 이룬 곳은 높이 쌓아 성벽의 높이가 15m 이상이며 자연암석 위에 쌓은 지점은 4-5m로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너비는 4-6m인데, 완전한 벽면이 6m인 것으로 미루어 당초에는 6m내외로 축성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화강암을 고르게 쌓아 올려 벽면 안팍이 평평하다.

성벽의 네 모퉁이는 천연암석에 의지하여 쌓았으며, 동쪽과 서쪽의 남북 끈 부분에 둘레 33m,너비 5m, 높이 9-10m로 말굽형의 돌출된 망대를 설치하였다. 현재 동쪽의 두 곳은 원형이 거의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고, 서쪽의 두 곳은 파손되었으나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성안은 굴곡이 많고 넓직한 대지도 있으며, 현재도 기와나 토기 조각이 발견되고 한 구석에서 샘이 솟는 점으로 미루어 당시 건물이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견훤과 그의 아버지 아자개는 지금의 문경시 가은읍 출신인 까닭에 상주지역의 옛 성들과 자주 연관되어언급되는데, 현지에서는 견훤이 이곳에 웅거하며 북쪽 지방에서경주로 향하는 공납물을 모두 거두어들였다고 구전된다.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대궐터에서 청계사 계곡까지 연결되는 성산산성을 합쳐서 견훤성이라고도 하는데, 하송리 대궐터는 견훤이 처음 축조한 성지로 전해지며 지금은 극락정사라는 절이 있다.

 차에서 내려

 김종호 회장의 인사

 

 견훤산성에 대해 설명하시는 향토문화연구소 조희열 소장님

 복원한 동쪽 편

 

성 위는 5-6m 넓이로 넓게 축조되어 있다. 

 큰 바위를 기둥삼아 쌓은 치성 원형 그대로이다.

 김해김씨 경파 파조 김문경의 가묘

 김해김씨 경파 파조 김문경의 가묘 위에 실제 묘는 큰 바위 아래 있다고 한다. 바위 앞에 놓여 있는 상석

 아직 옛 모습이 그대로인 성벽

 서쪽 지역에 있는 샘터

 

                         기념 사진 한 장 찍고

 

 

 유일한 성벽 서쪽의 출입문으로 사다리를 놓아야 안과 밖으로 출입할 수 있다고 한다.

                        멀리 천황봉과 문장대가 보인다.

 

 

식당에서 송어회로 점심 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