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문화 86

구당(舊當) 조목수(趙沐洙)의 <상산지(商山誌)> 초책(草冊) 고(考)

구당(舊當) 조목수(趙沐洙)의 &lt;상산지(商山誌)&gt; 초책(草冊) 고(考) 상주문화원 부원장 금 중 현 목 차 1. 들어가며168 2. 조선시대의 지리사록(地理史錄)171 3. 구당 본 초책 이전 상산지 개설(槪說)177 4. 구당본(舊堂本) &lt;상산지(商山誌)&gt; 초책(草冊)215 5. 구당본 이후의 상산지240 6. 현대..

오광(五狂) 여석훈(呂錫塤) 선생(先生) -「오광자소(五狂自疏)」를 中心으로

오광(五狂) 여석훈(呂錫塤) 선생(先生) -「오광자소(五狂自疏)」를 中心으로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김 재 수 목 차 1. 출생129 2. 향학열의 선구자130 3. 교육(敎育)의 선구자(先驅者)137 4. 농촌계몽운동(農村啓蒙運動)의 선구자(先驅者)144 5. 민주주의(民主主義) 교육의 선구자(先驅者)1..

바람 속에 바람처럼 살다간 바람의 시인 해명(海蓂) 김완 론(論)

상주의 시인들 ④ 바람 속에 바람처럼 살다간 바람의 시인 해명(海蓂) 김완 론(論) 박 찬 선 목 차 해명(海蓂) 김완101 바람의 의미103 자아(自我), 그리고 덧없음106 바람의 집으로 가고 싶다.112 그대에게 부는 사랑의 바람소리118 상주의 시인들 ④ 치유(治癒)와 구원(救援)의 잠언적 시 이창..

검간(黔澗) 조정(趙靖)의 한국문화사적(韓國文化史的) 위상(位相)

검간(黔澗) 조정(趙靖)의 한국문화사적(韓國文化史的) 위상(位相)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문학박사 권 태 을 목 차 I. 머리말 8 Ⅱ. 가계(家系) 및 행적(行績) 9 1. 가계(家系) 9 2. 행적(行蹟) 11 Ⅲ. 한국문화사적(韓國文化史的) 위상(位相) 17 1. 검간(黔澗)에 대한 제현(諸賢)의 평 17 2. 검간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