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9강 우복 정경세의 양정편 소고 養正篇 小考 聞慶大學校 招聘敎授 權世煥 Ⅰ. 愚伏 鄭經世의 略歷 愚伏 鄭經世는 明宗18年(1563)∼仁祖11年(1633)사이에 사셨던 분이다. 本貫은 晋州이고, 字는 景任, 號는 愚伏이다. 아버지는 左贊成을 지낸 鄭汝寬이고 어머니는 李軻의 딸이다. 朝鮮中期의 文臣이요 學者로서 柳成龍의 제자..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11.22
제58강 천봉산 아래에 꽃핀 상주의 민속문화 읽기 상주박물관 조 연 남 차례 1. 민속문화의 보고(寶庫) 상주 2. 마을신앙의 일반적인 전승 양상 3. 고을 신앙의 산실 성황사와 영암각 4. ‘안너추리’의 삶과 문화 간략히 엿보기 5. ‘안너추리’의 지킴이 당산(堂山)과 당산제 6. 남근석을 둘러싼 ..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11.06
제55강 경상도선생안과 상주慶尙道先生案과 尙州 慶尙道先生案과 尙州 상주문화원 부원장 금 중 현 목 차 1. 들어가며 ………………………………………………… 2 2. <경상도 선생안>의 보존 과정 ……………………… 3 3. <경상도 선생안>의 내용 ……………………………… 7 가. 경상도 도 이름 변천사 …………………………… ..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11.06
57강좌 건강증진제(健康增進濟)로서 뽕 나무의 효용성에 관한 고찰 건강증진제(健康增進濟)로서 뽕 나무의 효용성에 관한 고찰 윤 재 수(경북대 명예교수) 머리글 상주지역은 뽕 생산지로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뽕나무 재배에 적합한 토양과 기후를 가지고 있은 상주에는 전국 최고령의 뽕나무가 있다. 1970년대에는 뽕 생산량이 전국의 시.군 중..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11.06
제54강좌 성극당(省克堂) 김홍미(金弘微)를 위한 변명(辨明) 성극당(省克堂) 김홍미(金弘微)를 위한 변명(辨明) - 성극당은 이순신 장군을 탄핵하지 않았다 - 상주문화원장 김 철 수 1. 머리말 성극당(省克堂) 김홍미(金弘微)선생은 본관이 상주(尙州)이고, 자는 창원(昌遠)이며, 호는 성극당(省克堂)이다. 6대조 김상직(金尙直)은 집현전 부제학(集賢殿..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11.06
제51강좌 申潛 牧使의 思想과 敎育活動 申潛 牧使의 思想과 敎育活動 문경대학교 초빙교수 권세환 Ⅰ. 신잠(申潛) 목사(牧使) 1. 신잠(申潛)의 삶 신잠(申潛)은 1491년(성종 22년)에 태어나 1554년(명종 9년)에 상주목사로 재직 중 순직하였으며, 조선 중기의 뛰어난 화가이며 교육자였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11.06
우리나라를 빛낸 상주의 혼 (문화원 우리나라를 빛낸 상주의 혼.pptx 곽희상 상주문화원 홈페이지 참조 javascript:file_download('./download.php?bo_table=4_b&wr_id=59&no=0&page=0', '(문화원 우리나라를 빛낸 상주의 혼.pptx');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08.28
상주아리랑의 정체성 상주문화원 금요사랑방 『상주아리랑』과 정체성 김 재 수 상주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Ⅰ. 들어가는 말 ‘아리랑’에 대해 나는 무지하였다. 아리랑이 무엇인지 왜 아리랑인지 아리랑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불려 졌는지에 대하여 막연한 상식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다 2008..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08.09
난곡(蘭谷) 강서(姜緖)승지의 생애(生涯) 소고(小考) 난곡(蘭谷) 강서(姜緖)승지의 생애(生涯) 소고(小考) 윤 재 수 머리말 사람은 환경 속에서 삶을 영위하여 갑니다. 우주공간에 천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생활하는 지구가 있습니다. 지구는 지표에 둘려 쌓여 있습니다. 지표에는 돌, 흙, 물, 공기 그리고 생명체가 있습니다. 땅 위에서 자라는 ..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07.14
국채보상운동과 상주인의 활동 국채보상운동과 상주인의 활동 상주문화원 부원장 금중현 <목 차> 1. 머리말 ------------------------ ----- 2 2. 국채보상운동의 역사적 배경 --------------- 3 3. 국채보상운동의 내용 ------------------- 4 4. 국채보상운동의 언론 활동과 주요인사 가. 언론활동 --------------- ---------- 8 나. 활동의 주요인.. 상주학/상주학 제4권 201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