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무신난, 의승대장(義勝大將) 남암(南巖) 손경석(孫景錫) 무신난, 의승대장(義勝大將) 남암(南巖) 손경석(孫景錫) 금 중 현 손경석(孫景錫; 1669, 현종 10~1732, 영조 8)은 조선 영조 년간에 일어났던 무신난에 상주 의병의 의승대장(義勝大將)으로 추대되어 국난을 극복하는데 공을 세운 상주의 지도자이다. 상주 청리면 율리촌에 세거하고 있는 경주 ..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선비, 도곡(道谷) 김우태(金宇泰)와 사물재(四勿齋) 김시태(金時泰) 선비, 도곡(道谷) 김우태(金宇泰)와 사물재(四勿齋) 김시태(金時泰) 금 중 현 화동면 판곡 마을에는 예부터 청도 김씨가 집성으로 세거하고, 마을 한 켠에는 이 집안 출신으로서 조선시대의 명현(名賢)이었던 김우태[金宇泰, 1647(인조 25)~1708(숙종 34)]와 김시태[金時泰, 1647(인조 25)~1729(영조 ..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효(孝)와 덕행(德行)으로 참 선비의 삶을 산 입재(立齋) 조대윤(趙大胤) 효(孝)와 덕행(德行)으로 참 선비의 삶을 산 입재(立齋) 조대윤(趙大胤) 김 재 수 1. 하늘이 내린 효자 그믐 즈음, 칠흑 같은 어둠만 하늘과 땅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며칠 째 초저녁부터 한 자리에 꿇어 앉아 밤이 맞도록 기도를 올리는 그림자만 어둠속에서 앉아 있었다. 무엇인가 간절하..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양정(楊亭) 마을을 개척한 현사(賢士) 권성(權惺)과 아들 권집(權緝) 양정(楊亭) 마을을 개척한 현사(賢士) 권성(權惺)과 아들 권집(權緝) 금 중 현 ‘양정(楊亭)’마을은 공검면 사무소에서 남서쪽으로 3㎞ 정도 떨어진 전형적 촌락으로 예부터 이름난 고촌(古村)이다. 오늘의 양정은 공검면사무소와 그 일대를 행정 리동 명칭으로 하지만 예전의 양정 마을..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향촌에 묻혀 산 고절(孤節)한 선비-학행과 문장으로 이름난 김해(金楷)- 향촌에 묻혀 산 고절(孤節)한 선비-학행과 문장으로 이름난 김해(金楷)- 박 찬 선 해(金楷, 1633~1716)의 호는 부훤당(負暄堂), 자는 정칙(正則)이며 관향은 안동이다. 대광태사(大匡太師) 김선평의 후손으로 고조부 시좌(時佐)는 효행으로 정려 되고 참봉을 제수 받았으며, 증조부 집(緝)은 문..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단지주혈의 효자 염행검(廉行儉) 단지주혈의 효자 염행검(廉行儉) 김 재 수 상주시 외서면사무소로 가는 길을 따라 가다보면 외서면 봉강 1리에서 옛 배영초등학교를 만난다. 지금은 ‘상주환경농업학교’이다. 환경농업학교를 막 지나 조그마한 다리를 건너기 위해 좌회전을 하면 아담한 마을이 보인다. 이 마을이 행갈(..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백성을 진정으로 사랑한 야옹(野翁) 이영갑(李英甲) 백성을 진정으로 사랑한 야옹(野翁) 이영갑(李英甲) 곽 희 상 강진 고을에서 타 지방으로 이사(移徙)를 가는 주민을 보았다. ‘여보시오! 수레에 이삿짐인가 본데 도대체 어디로 가는 것이오?’ 라고, 여쭈어 보았다. 그러자 수레를 끌던 주민은 이마의 땀을 훔치드니, ‘전주(全州) 고을로 ..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부모에게 욕되지 않게 산 무첨재 정도응(鄭道應) 부모에게 욕되지 않게 산 무첨재 정도응(鄭道應) * 상주향토문화연구소 고문,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전) 상주고등학교장, 전) 상주향토문화연구소장 박 찬 선* “아! 세상의 현인과 군자들의 후손 중에 자신의 선조를 욕되게 하지 않은 사람이 드물었다. 천지간의 정밀하고 밝으며 맑은 ..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서리(胥吏)들도 감복한 어은(漁隱) 류천지(柳千之) 선생 서리(胥吏)들도 감복한 어은(漁隱) 류천지(柳千之) 선생 김 철 수 선생의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내신 서애(西厓)선생이고, 아버지는 우천학맥의 시초이신 수암(修巖) 선생이며, 자는 자강(子强)이고 호는 어은(漁隱)이다. 선생은 1616년(광해군 8)에 봉화 유곡에서 태어났는데, 8살 되던 해에..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
상주학. 상주의 인물 제5권. 황명처사(皇明處士)로 이름을 남긴 성진승(成震昇) ․ 진항(震恒) 형제 황명처사(皇明處士)로 이름을 남긴 성진승(成震昇) ․ 진항(震恒) 형제 곽 희 상 1639년(인조 17) 한양에서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의 방(榜)이 붙고 합격증(진사, 백패⋅白牌)을 수여하면서 일어난 일이다. 장내가 매우 소란스러웠다. ‘신성해야 할 자리가 왜 이리 소란스러운가?’ .. 상주의 인물/상주의인물 제5권 2017.01.27